-
주요뉴스한국기업거버넌스 포럼 "'주주 돈은 공짜' 인식 문제···자사주 소각·집중투표제 의무화해야"
-
주요뉴스연이은 사망사고에 행정처분까지···불똥 떨어진 용산정비창 전면1구역
-
주요뉴스운전습관 플랫폼 구축하는 보험개발원···손보업계 '시큰둥' 이유는
-
주요뉴스'불닭 신화' 김정수, 지주사 대표직 내려놓은 이유
-
주요뉴스영원무역, 스캇 위기 속 전력 변화 나선다
-
주요뉴스빗썸 신설회사 '빗썸에이' 경영진 확정···김요한·정상균·최대열 선임
-
주요뉴스카카오 '문어발식 경영' 해소와 고용 불안정성 확산 우려
-
주요뉴스셀트리온 1분기 '어닝쇼크' 위험···관세 대응·외부 CMO 공급 탓
-
주요뉴스MBK, 홈플러스 신용등급 강등 방어 위해 '1000억 신용공여' 제안
-
주요뉴스정치테마주가 휩쓴 국장···들끓는 빚투 '경고음'
- 주요뉴스
- 에디터 추천
- 한국기업거버넌스 포럼 "'주주 돈은 공짜' 인식 문제···자사주 소각·집중투표제 의무화해야"
- 카카오 '문어발식 경영' 해소와 고용 불안정성 확산 우려
- MBK, 홈플러스 신용등급 강등 방어 위해 '1000억 신용공여' 제안
- 신선식품의 반란, 플랫폼의 야심으로 다시 익는다
- '적자 늪' 탈출 신호탄 LG디스플레이···정철동式 구조혁신 통했다
- 5개월 만에 지분가치 1800억원 증가
- 길정섭 NH아문디 대표 "ETF로 제2의 도약 추진···점유율 3% 목표"
- K-방산, 현지화로 '바이 유러피언' 넘는다
- 정의선의 '車디플로머시'···'관세 전쟁' 속 연합군 전략
- 올해 1분기 글로벌 IPO 시장 반등···한국, 조달금액 9위
- 영원무역, 스캇 위기 속 전력 변화 나선다
- 빗썸 신설회사 '빗썸에이' 경영진 확정···김요한·정상균·최대열 선임
- 셀트리온 1분기 '어닝쇼크' 위험···관세 대응·외부 CMO 공급 탓
- 단독웹젠 MMO 기대작 '용과 전사' 출시 무산
- '광주 학동 사고' 또다시 법정행···HDC현산, 2심서 판결 뒤집나
- 이찬희 준감위원장 "노태문 직무대행 선임은 가장 좋은 선택"
- 최태원 "韓, 구조적 한계 직면···발상의 전환 필요"
- 제네웰 '가딕스' 20돌···한상덕 대표 "국내외 시장 이끌어 나갈 것"
-
5개월 만에 지분가치 1800억원 증가 신흥 주식부자
5개월 만에 지분가치 1800억원 증가
유일로보틱스가 SK온의 인수 가능성으로 주가가 크게 상승하며 김동헌 대표의 지분가치도 1800억 원 증가했다. SK배터리아메리카는 공동보유자로 올라서며 최대주주가 될 수 있는 권리를 확보했다. SK그룹의 로봇 산업 확대 전략과 유일로보틱스의 기술력이 맞물리며 향후 투자 시너지 효과가 기대된다.
-
정의선의 '車디플로머시'···'관세 전쟁' 속 연합군 전략 재계 IN&OUT
정의선의 '車디플로머시'···'관세 전쟁' 속 연합군 전략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은 신년사를 통해 위기 극복을 위한 융합적 리더십과 과감한 투자 의지를 밝혔다. 31조원 규모의 미국 투자와 포스코와의 동맹은 글로벌 시장에서 생존과 성장을 위한 전략으로 평가된다.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과의 기술 협력도 미래차 시장의 주도권 확보를 목표로 한다.
-
신선식품의 반란, 플랫폼의 야심으로 다시 익는다 신선식품의 반란, 플랫폼의 야심으로 다시 익는다
이커머스에서 반복 구매는 플랫폼 체류 시간을 결정하고, 그 체류 시간은 결국 시장 지배력으로 이어진다. 신선식품은 이 반복성을 가장 자연스럽게 구현할 수 있는 카테고리다. 매일 소비되고, 신뢰가 곧 재구매로 직결된다. 팬데믹을 거치며 소비자들은 식탁까지 도달하는 '플랫폼의 손'을 체감했고, 기업들은 그 접점을 지키기 위해 경쟁을 고도화하고 있다. 그 중심에서 컬리와 오아시스가 다시 움직이기 시작했다. 프리미엄 큐레이션과 새벽배송으로
-
K푸드 '관세' 앞 엇갈린 희비 K푸드 '관세' 앞 엇갈린 희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상호관세 부과를 발표하면서 식품업계의 희비가 엇갈리고 있다. 현지 생산시설을 가진 기업은 무관하지만, 수출에 주력하는 경우 관세 직격탄을 맞을 위기다. 미국은 국내 식품업계의 최대 수출국 중 하나다.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올해 1분기 K-푸드 플러스(K-Food+) 농식품 분야 수출액 잠정치는 24억8000만달러(약 3조6500억원)로 1분기 기준 최고치를 기록했다. 그중 미국 수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21.7% 증가한 4억8700만달
섹션
-
산업
이찬희 준감위원장 "노태문 직무대행 선임은 가장 좋은 선택"
이찬희 삼성 준법감시위원회(이하 준감위) 위원장이 22일 최근 고 한종희 삼성전자 디바이스경험(DX) 부문장 부회장의 후임으로 노태문 모바일 경험(MX) 사업부장 사장을 직무대행으로 선임한데 대해 "조직의 안정성 측면에서 가장 좋은 선택이라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이 위원장은 이날 서울 서초구 삼성생명 서초사옥에서 진행된 준감위 정례회의 참석에 앞서 기자들과 만나 "노 사장은 한 부회장과 오랫동안 삼성전자 DX부문을 이끌어온 분"이라
이찬희 준감위원장 "노태문 직무대행 선임은 가장 좋은 선택" -
유통·바이오
'불닭 신화' 김정수, 지주사 대표직 내려놓은 이유
김정수 삼양식품 부회장이 삼양라운드스퀘어 대표직을 내려놓으며 지주사 체제를 전문경영인으로 전환했다. 장석훈 신임 대표는 재무 전문가로 그룹 운영 효율화에 나선다. 김 부회장은 식품 본업과 해외 사업 집중을 강화하며, 밀양2공장 완공으로 글로벌 시장 확장을 목표로 하고 있다.
'불닭 신화' 김정수, 지주사 대표직 내려놓은 이유 -
IT
웹젠 MMO 기대작 '용과 전사' 출시 무산
웹젠이 모바일 MMORPG '용과 전사'의 국내 출시를 중단하기로 했다. 비공개테스트와 사전예약 결과가 기대에 못 미쳤다는 평가가 원인이다. 다른 신작에 집중하기 위한 결정으로, 하반기 실적과 주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웹젠 MMO 기대작 '용과 전사' 출시 무산 -
금융
운전습관 플랫폼 구축하는 보험개발원···손보업계 '시큰둥' 이유는
보험개발원이 올해 상반기 중 운전습관 데이터 플랫폼을 출시할 예정이다. 안전운전 점수 모형을 기반으로 보험료 할인을 제공하는 상품 개발도 검토 중이다. 업계는 내비게이션 미통합으로 소비자 관심을 끌기 어려워 실효성을 높이기 위한 인센티브가 필요하다고 지적하고 있다.
운전습관 플랫폼 구축하는 보험개발원···손보업계 '시큰둥' 이유는 -
증권
한국기업거버넌스 포럼 "'주주 돈은 공짜' 인식 문제···자사주 소각·집중투표제 의무화해야"
한국기업거버넌스포럼 이남우 회장은 코리아 디스카운트 해결을 위해 상법 개정과 주주 권리 강화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지배주주가 주주 가치를 훼손하는 것을 방지하는 법적 제도 도입과 기업 투명성 강화를 위한 디스커버리 제도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또한, 국내 주식 시장 성장을 위한 초석으로 자사주 소각, 집중투표제 의무화 등의 정책을 제시했다.
한국기업거버넌스 포럼 "'주주 돈은 공짜' 인식 문제···자사주 소각·집중투표제 의무화해야" -
부동산
건설협회 이사회, 현대·대우·DL 등 대형사 대표 합류
대한건설협회의 새로운 이사회에 시공능력평가 상위 건설사 대표들이 경영진으로 합류했다. 22일 건설협회에 따르면 지난 2월 정기총회 의결에 따라 최근 회원이사 9인 및 회원부회장 12인이 새롭게 선출됐다. 선출된 회원부회장 겸 회원이사로는 ▲이한우 현대건설 대표 ▲정원주 대우건설 회장 ▲박상신 DL이앤씨 대표 ▲김승모 한화 건설부문 대표 ▲박철희 호반건설 대표 ▲김정일 코오롱글로벌 대표 ▲조완석 금호건설 대표 ▲윤진오 동부건설 대
건설협회 이사회, 현대·대우·DL 등 대형사 대표 합류 -
ESG경영
김승연 회장, ㈜한화 지분 세 아들에 증여···경영권 승계 완료(종합)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이 자신이 보유하고 있는 ㈜한화 지분 22.65% 가운데 절반인 11.32%를 세 아들에게 증여한다. ㈜한화는 31일 공시를 통해 김승연 회장이 보유한 ㈜한화 지분을 김동관 부회장, 김동원 사장, 김동선 부사장에게 각각 4.86%, 3.23%, 3.23%씩 증여한다고 밝혔다. 김동관 부회장 등 세 아들 지분율 42.67%⋯경영권 승계 완료 증여 후 그룹 지주사격인 ㈜한화의 지분율은 한화에너지 22.16%, 김승연 회장 11.33%, 김동관 부회장 9.77%, 김동원 사장 5.37%, 김동
김승연 회장, ㈜한화 지분 세 아들에 증여···경영권 승계 완료(종합) -
항공·해운
美, 中 해운·조선에 정조준···입항 수수료 부과에 中 수출업계 '직격탄'
미국이 중국산 선박과 중국 해운사에 고율의 입항 수수료를 부과하며 해운·조선 산업에 대한 압박을 강화하고 있다. 이에 따라 중국 수출업계는 생산 중단과 재고 누적, 공장 휴업 등 실질적인 피해를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무역대표부(USTR)는 17일(현지시간) 발표를 통해 오는 10월 14일부터 중국 해운사 또는 중국에서 건조된 선박에 대해 입항 수수료를 부과하기로 했다. 톤당 수수료는 처음에는 50달러에서 시작해 2028년까지 140달러로 단
美, 中 해운·조선에 정조준···입항 수수료 부과에 中 수출업계 '직격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