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7월 11일 금요일

  • 서울 31℃

  • 인천 30℃

  • 백령 25℃

  • 춘천 25℃

  • 강릉 23℃

  • 청주 31℃

  • 수원 30℃

  • 안동 26℃

  • 울릉도 24℃

  • 독도 24℃

  • 대전 31℃

  • 전주 32℃

  • 광주 30℃

  • 목포 29℃

  • 여수 27℃

  • 대구 26℃

  • 울산 24℃

  • 창원 28℃

  • 부산 25℃

  • 제주 24℃

유통·바이오 편의점 업계, 최저임금 1만320원에 무인점포·야간 단축 시동

유통·바이오 채널

편의점 업계, 최저임금 1만320원에 무인점포·야간 단축 시동

등록 2025.07.11 14:27

조효정

  기자

공유

AI한입뉴스
ai 아이콘
AI한입뉴스

OpenAI의 기술을 활용해 기사를 한 입 크기로 간결하게 요약합니다.

전체 기사를 읽지 않아도 요약만으로 핵심 내용을 쉽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Quick Point!

최저임금 인상과 인건비 부담 증가로 편의점 업계가 무인화, 야간 영업 축소 등 생존 전략 마련

점주들은 수익성 악화와 고용 축소 압박에 직면

편의점의 24시간 영업 정체성도 흔들림

숫자 읽기

2026년 최저임금 1만320원, 전년 대비 2.9% 상승

주요 4사 무인점포 2년 만에 6배 증가, 3300여 개 돌파

GS25 24시간 미운영 점포 비율 2019년 15.0%→2024년 23.6%

CU 2023년 영업이익 4.6% 감소, GS25 10.9% 감소

맥락 읽기

인건비 부담 심화로 점주 폐업 우려 커짐

야간 근무 시 실질 시급 1만5000원대까지 상승

최저임금 인상에 업종별 차등 적용 논의 무산

정부 지원 정책 실효성에 대한 불신 확산

계산 자동화 등 비용절감 전략 전면화점주들 실질 인건비·경영난 호소노사정 합의 불구 사회적 고용 충격

편의점 업계, 최저임금 1만320원에 무인점포·야간 단축 시동 기사의 사진

인건비 부담이 가중되면서 편의점 업계가 생존 전략 마련에 나섰다. 무인화와 야간 영업 축소 등 인력 운영 최소화를 통해 수익성 방어에 나서는 모습이다.

11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2026년도 최저임금이 시간당 1만320원으로 확정되면서, 편의점 업계가 무인점포 확대와 24시간 영업 축소로 대응하고 있다. 수년간 누적된 인건비 부담에 더해 심야 근무 수당까지 반영되면, 인건비 총액은 점주들에게 감당 불가능한 수준으로 다가오고 있다.

내년 최저임금은 올해(1만30원)보다 2.9%(290원) 오른 금액이다. 월 환산액은 215만6880원(209시간 기준)이다. 2008년 이후 17년 만에 근로자·사용자·공익위원 합의로 결정됐으며, 1988년 제도 도입 이후 여덟 번째 노·사·공 합의 사례다.

편의점 업계에 닥친 변화는 뚜렷하다. 전국 점포 수는 5만 개를 돌파했지만, 24시간 영업하는 점포는 줄고 있다. GS25의 경우 2019년 15.0%였던 24시간 미운영 점포 비율이 올해 23.6%까지 올랐다. CU도 17.0%의 점포가 야간 영업을 포기했고, 세븐일레븐은 점포 수 감소와 맞물려 상대적으로 24시간 점포 비율이 늘어난 것으로 추정된다. 편의점이 단순히 '항상 켜진 가게'라는 정체성조차 유지하기 어려운 구조로 바뀌고 있는 셈이다.

이 같은 흐름은 무인화 확산과 맞물려 있다. GS25, CU, 이마트24, 세븐일레븐 등 주요 4사 무인점포 수는 2년 만에 6배 이상 증가해 지난해 말 기준 3300여 개에 달한다. 이마트24는 지난해 550개를 새로 개점하며 무인점포를 총 1600개까지 늘렸다. 심야 무인화, 계산 자동화, 근무자 없는 점포가 더 이상 실험이 아닌 생존의 도구가 됐다.

업계 실적도 구조적 한계를 드러낸다. CU는 지난해 매출 8조5921억 원으로 전년 대비 5.7% 성장했지만, 영업이익은 2304억 원으로 4.6% 감소했다. GS25 역시 매출은 5.1% 증가한 8조6661억 원이었지만 영업이익은 10.9% 줄어든 1946억 원에 그쳤다. 점포는 늘었지만, 이익은 줄었다는 역설이 드러나는 대목이다.

편의점 점주들은 현실적인 절벽 앞에 놓여 있다. 계상혁 전국편의점가맹점협회장은 "최저임금을 동결 또는 인하해 소상공인에게 희망을 줘야 한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그는 "지금은 인건비와 전기세, 임대료가 늘었는데 매출은 그대로"라며 "이 구조가 지속되면 은퇴가 아니라 폐업을 선택하는 점주가 늘 것"이라고 우려했다.

편의점 업계는 인건비 부담이 단순히 점주의 수익 악화에 그치지 않고, 사회 초년생과 노년층의 일자리 기회 자체를 줄이고 있다고 우려한다. 계상혁 회장은 "점주 입장에서는 전체 근로시간을 줄일 수밖에 없다 보니, 보호받아야 할 청년층과 노년층이 오히려 하루 몇 시간짜리 아르바이트 자리도 구하지 못하고 밀려나는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계 회장은 현재의 인건비 구조에서 야간 근무 시 실제로는 시급이 1만5000원대까지 올라가 부담이 더욱 크다고 설명했다. 단순히 최저임금만으로 계산되는 것이 아니라 주휴수당, 야간수당, 4대보험, 퇴직금까지 포함되면서 점주의 실질 부담은 공식 시급보다 훨씬 높아진다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부는 매년 수십 조 원 규모의 소비쿠폰 정책 등을 추진할 뿐, 실질적인 자영업자 지원 방안은 전무하다는 점을 비판했다.

그는 "그 예산으로 차라리 일정 고용 조건을 충족한 자영업자에게 주휴수당을 보조해주는 식의 정책이 이뤄졌다면 점주도 숨통이 트이고 사회초년생 및 노년층의 고용도 안정됐을 것"이라며 소비 진작보다도 '고용 유지'에 집중하는 정책이 진짜 서민경제 대책이라고 강조했다.

또 다른 업계 관계자는 "최저임금 인상 결정에 대해 업계는 큰 부담감을 느끼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편의점을 포함한 소상공인 업계에 필요한 업종별 차등 지급 논의가 기대됐으나 또다시 무산됐고, 소비 침체 속에 매년 지속되는 인상으로 점주들의 고충은 더 커지고 있다"며 "가뜩이나 힘든 상황에서 서민 경제에 더 큰 타격이 되지 않을까 우려된다"고 말했다.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