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
상생협의 역설, 배달비와 수수료에 낀 소비자
배달앱 업계의 수수료 및 무료배달 정책을 둘러싼 상생 논의가 자영업자와 플랫폼에 집중되며 소비자는 소외되고 있다. 수수료 감면, 무료배달 도입에도 외식 물가는 오르고, 점주와 배달앱의 이익 경쟁에 소비자 선택권과 혜택은 줄었다.

기자수첩
상생협의 역설, 배달비와 수수료에 낀 소비자
배달앱 업계의 수수료 및 무료배달 정책을 둘러싼 상생 논의가 자영업자와 플랫폼에 집중되며 소비자는 소외되고 있다. 수수료 감면, 무료배달 도입에도 외식 물가는 오르고, 점주와 배달앱의 이익 경쟁에 소비자 선택권과 혜택은 줄었다.
기자수첩
미래 세대 감소, 교육업계의 라이프케어 혁신
저출산과 고령화로 교육기업들이 성장 한계를 맞으면서 상조업 등 실버산업으로 진출을 확대하고 있다. 웅진, 교원, 대교 등은 기존 영업망과 신뢰도를 바탕으로 장례 및 라이프케어 시장에 적극 나서고 있으나, 상조업 특성상 소비자 보호와 투명한 경영이 필수적이다.
기자수첩
소재가 무너지면 완성차도 무너진다
산업의 꽃이 완성차라고 했던가요. 하지만 꽃이 피기 위해서는 우리 눈에 보이지 않는 뿌리가 튼튼해야 합니다. 아무리 물을 주고 영양제를 넣어도 뿌리가 약하면 결국 꽃은 피지 못합니다. 전기차 산업도 마찬가지입니다. 외형의 중심은 완성차지만, 그 아래에는 배터리 셀, 그리고 그보다 더 아래에는 소재·부품이라는 뿌리가 자리하고 있습니다. 그 뿌리가 흔들리고 있다면, 겉으로 아무리 화려해 보여도 결국 전기차 산업은 오래 버티지 못할 것입니다
기자수첩
흔들린 33년의 역사···그래도 삼성전자의 저력을 믿는다
'SK하이닉스, 33년 만에 삼성전자 D램 시장점유율 1위 제쳐' 얼마 전 업계에 반향을 일으킨 문장이다. 이날 수많은 매스컴에서 다뤘지만 요지는 하나다. SK하이닉스가 33년 만에 삼성전자를 제치고 D램 시장점유율 1위에 등극했다는 것이다. 이는 반도체 시장의 현주소를 가장 명확하게 보여주는 것이기도 하다. 삼성전자는 반도체 시장, 그중에서도 메모리 시장에서 자타공인 글로벌 1위를 하는 기업이었다. 기술적인 측면에서도 수익성 측면에서도
기자수첩
티빙·웨이브 지연된 합병, 넷플릭스만 웃었다
티빙과 웨이브의 OTT 합병이 지연되는 사이 넷플릭스가 SBS 등 주요 콘텐츠 공급 계약을 통해 시장을 선점했다. 토종 플랫폼들이 더블 이용권을 출시했으나, SBS 및 애플TV+ 콘텐츠 미제공 등 제약이 논란되고 있다. 국내 OTT 경쟁력 약화 우려가 커졌다.
기자수첩
실수요 억누르는 가계대출 총량의 덫
최근 집값과 전셋값 상승으로 가계대출이 자연스럽게 늘고 있으나, 정부와 금융당국의 강도 높은 대출 총량 규제가 실수요자 부담을 가중시키고 있다. 은행의 자본여력은 충분하지만 규제 일변도의 정책은 민간소비와 중소기업 자금흐름까지 위축시킬 우려가 있다. 부채 관리보다 실수요 보호에 집중하는 정책 전환이 필요하다.
기자수첩
K-바이오, '지는 게임' 하지 않으려면
한국 바이오 산업이 신약 개발과 글로벌 진출에서 성과를 내고 있지만, 중국 등 경쟁 국가는 국가 차원의 전폭적 지원과 인재 양성, 인프라 구축으로 더 빠르게 성장 중이다. 한국도 정부 주도의 연구지원과 협력 강화가 절실하다는 지적이다.
기자수첩
'대출 절벽 재현' 우려 키우는 금융당국
가계대출이 올해 들어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서울 아파트값 상승과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7월 DSR 3단계 규제 시행을 앞둔 '막차 대출' 수요가 급증한 영향이다. 금융당국의 뒷북 관리로 대출 절벽 재현 우려가 커지고 있다.
기자수첩
위기의 석유화학···골든타임 잡아야
대낮부터 이란과 이스라엘 도심에서 폭격 소리가 멈추지 않는다. 교전이 엿새째 이어지면서 사망자는 최소 24명, 부상자는 500여 명이다. 현장은 생사가 오가는 사람들의 골든타임 지키는데 분초 단위로 구조 대응이 진행 중이다. 이스라엘-이란 무력 충돌을 지켜보고 있는 석유화학 기업의 한숨도 깊어지고 있다. 업황이 녹록지 않은 상황에서 이들에게 '저유가'는 그나마 버틸 수 있었던 요소였다. 그러나 무력 충돌로 배럴당 130달러까지 치솟을 수 있다는
기자수첩
지뢰밭 3년 버틴 건설업계···'일감의 봄' 간절
윤석열 정부 3년간 건설업계는 그야말로 '지뢰밭'이었다. 무엇보다 정책 실패의 그림자가 깊고 짙었다. 윤석열 정부 초반 레고랜드 사태로 촉발된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 위기감은 시행사에서 건설사, 금융권까지 도미노처럼 번졌고, 결과적으로 윤 전 대통령이 집권한 작년 말까지 건설사 64곳이 부도 처리되는 '참사'가 빚어졌다. 저축은행, 증권사, 캐피탈 등 금융권의 PF 대출 손실은 14조원에 달할 것으로 추산된다. 윤 정부는 정부 개입
+ 새로운 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