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29일 수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오피니언 "사진 찍지 마세요"···모델하우스 촬영 금지 개선돼야

오피니언 기자수첩

"사진 찍지 마세요"···모델하우스 촬영 금지 개선돼야

등록 2025.07.18 16:10

수정 2025.07.18 16:35

이재성

  기자

공유

"사진 찍으시면 안됩니다. 삭제해주세요"

아파트 모델하우스를 방문하면 종종 듣는 말이다. 수요자에게 모델하우스는 청약을 넣기 전, 지어질 집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는 첫 번째이자 사실상 마지막 기회다. 내부에 마련된 유닛은 수십 가지 옵션과 다양한 마감재가 적용돼 있어 눈으로만 모든 요소를 기억하기란 쉽지 않다. 이 때문에 일부 방문객들은 휴대폰을 꺼내 사진으로 기록을 남기려 한다. 기억은 쉽게 흐려지지만, 사진은 선명하게 남기 때문이다. 그러나 모델하우스 내 촬영은 엄격히 금지돼 있다.

건설사들은 모델하우스 촬영을 금지하는 것에 대해 여러 가지 이유를 든다. 모델하우스 자체가 기업의 영업기밀이자 노하우이기 때문에 함부로 공개할 수 없고, 사진이 왜곡되거나 악의적으로 편집돼 유포될 경우 브랜드 이미지에 타격이 갈 수 있다는 주장이다. 또 모델하우스를 운영 중인 상황에서 사진 유출이 집객 효과를 떨어뜨릴 수 있다는 논리도 있다.

하지만 이런 설명은 수요자 입장에서 보면 설득력이 떨어진다. 건설사 측은 모델하우스가 영업기밀이라며 촬영을 제한하지만, 일반에 공개된 공간이기 때문에 '영업기밀 주장'은 설득력이 없다. 누구나 자유롭게 관람할 수 있는 구조에서 이를 기밀로 보는 건 과도한 주장이다.

촬영 이미지의 왜곡이나 악의적 편집 우려 역시 실제 문제가 발생했을 때 법적 대응으로 충분히 해결 가능한 사안이다. 유출로 인한 집객 효과 저하도 피해가 입증된다면 별도로 책임을 물으면 될 일이다.

소비자는 철저하게 따져보고, 고민하고, 비교할 권리가 있다. 청약 결정은 수억원에서 수십억원, 평생 모은 돈에 대출까지 얹어야 가능한 인생 최대의 소비 결정이다. 그런데 그 판단의 참고자료가 될 수 있는 사진조차 남기지 못하게 한다는 건 합당한 조치라 보기 어렵다.

법적으로 살펴보면 모델하우스 촬영은 불법이 아니다. 저작권법은 공표된 저작물을 영리를 목적으로 하지 않고 개인적으로 이용할 경우 복제할 수 있다고 명시한다. 즉, 가족이 함께 볼 목적으로 사진을 찍는 것은 전혀 문제될 것이 없다.

특히 모델하우스에 전시된 상태와 실제 시공이 다르게 완성되는 사례도 다수 발생하고 있다. 지난 5월 한국소비자원 1372 소비자상담센터에 접수된 아파트 관련 소비자상담은 총 672건으로, 전년 동월 대비 140% 급증했다. 아파트 관련 상담은 대부분 모델하우스와 실제 시공 차이에 따른 보상 요구였다. 불만 유형은 단종된 가전제품을 고지 없이 대체 시공한 사례, 광고된 빌트인 가전과 단차 문제 등 다양하다.

이처럼 모델하우스와 실제 시공 결과 차이로 인한 분쟁이 더러 발생하는 만큼, 촬영한 사진이 없다면 피해를 입고도 이를 정확히 입증하기 어려운 상황이 생길 수 있다.

'모델하우스 내 촬영 금지'라는 오래된 관행은 소비자 권리를 지나치게 제약하고 있다. 집은 인생에서 가장 큰 투자다. 최소한, 그 집을 비교하고 증빙할 수 있는 권리를 가질 수 있도록 법적 개선이 필요하다.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