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마을금고, 3분기 연체율 6%대까지 내려···"연말 5%대 목표" 새마을금고는 올해 3분기 연체율을 6.78%까지 낮췄으며, MG AMCO를 통한 부실채권 매각 확대와 자산관리 체계 상시화로 연말 연체율을 5%대까지 내릴 계획임을 밝혔다. 중앙회는 행안부와 협력해 금융 건전성과 경영 정상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금융위, 저축은행 감독규정 개정···시장자율 구조조정 속도 붙는다 금융위원회가 저축은행 감독규정을 개정해 비수도권 여신 확대, 서민금융 지원 강화, 자산건전성 기준 완화, 시장 자율적 구조조정 촉진을 추진한다. 정책서민금융 인센티브 및 비수도권대출 가중치 상향, 중소형사 비대면 신용대출 규제 완화, M&A 기준 한시적 완화 등 균형 성장과 포용금융 체제 구축에 초점을 맞췄다.
위기의 상호금융 더 거세진 금융당국 압박···차기 회장 선거 앞둔 신협-새마을 '먹구름' 금융당국이 상호금융권의 연체율과 건전성 문제를 강도 높게 지적하며, 새마을금고와 신협중앙회 차기 회장 선거에 긴장감이 높아지고 있다. 부동산 PF 부실, 내부통제 실패, 금융사고 등 산적한 과제 속에서 조직 혁신과 리더십 교체가 업계의 주요 이슈로 부상했다.
위기의 상호금융 금융당국 "연체율 낮춰라" 직격···상호금융, 연말 '발등에 불' 올해 6월 말 기준 농협, 신협, 수협, 산림조합 등 상호금융권의 연체율이 5.70%까지 치솟으며 부실 우려가 커졌다. 특히 신협과 새마을금고의 연체율이 8%를 넘어서면서 금감원은 연말까지 연체율 4%대 달성을 목표로 상호금융권에 적극적으로 부실채권(NPL) 매각을 요구하고 있다. 금융당국은 뱅크런 대응 등 건전성 강화를 위해 감독과 점검을 강화 중이다.
KBI그룹, 라온 이어 상상인저축은행 인수 추진···"금융업 새 성장동력" KBI그룹이 지난 7월 라온저축은행에 이어 상상인저축은행 인수에 나서며 금융업 분야 사업 확대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그룹은 제조업에서 금융까지 포트폴리오를 다각화하고, 연이은 저축은행 인수로 금융시장 M&A 활성화와 업계 구조조정 선도에 나섰다.
'중구난방' 상호금융 감독권···금감원장 직격에 불붙은 일원화 논의 상호금융권 감독체계 일원화에 대한 논의가 금융감독원장 발언을 계기로 재점화됐다. 새마을금고 감독권의 금융당국 이관 필요성이 다시 부각되는 가운데, 정부 부처 간 이견과 금감원의 인력 부담 등이 쟁점으로 떠오르고 있다. 연내 제도개선안 발표가 기대되고 있다.
새마을금고재단, 전국 취약 공동체시설 지원 나서 새마을금고 지역희망나눔재단은 경기 침체, 인구 유출 등으로 약화된 지역공동체 기반을 강화하기 위해 '로컬공동체 활성화 지원사업'을 실시한다. 올해 경로당, 복지관, 아동센터 등 전국 80개 공동체시설을 선정해 TV, 냉장고, 에어컨 등 맞춤형 물품을 지원할 계획이다. 지난 3년간 223개 시설에 물품을 지원했고, 다양한 분야의 공동체 자립과 사회적 연대 강화를 목표로 한다.
새마을금고 차기 회장 레이스 본격화···'수익성·건전성' 관건 오는 12월 17일 열리는 새마을금고중앙회장 선거를 앞두고 김인 현 회장의 연임 가능성과 신진 후보들의 도전이 관심을 끈다. 뱅크런·부동산 PF 등으로 실적 악화와 금융사고가 이어져 조직 안정과 건전성 관리 능력이 차기 회장의 핵심 자질로 부각됐다. 전국 각 금고 이사장의 직접 투표로 후보 간 경쟁이 한층 치열해질 전망이다.
새마을금고 8년간 누적 금융사고액 715억원···고객 돈 횡령 417억원 최근 8년간 새마을금고에서 발생한 누적 금융사고액이 715억원을 기록했으며, 이 중 417억원이 고객 예금 등 직접 자금 횡령으로 드러났다. 정부는 관리감독 강화를 위한 전방위 조사를 실시 중이나, 내부통제 미흡 문제가 지속 지적되고 있다.
농·수협 중앙회 여성 임원 '0명'···계열사·자회사도 '유리천장' 농협중앙회와 수협중앙회 임원진에서 여성 임원이 단 한 명도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농협금융지주 및 자회사, 지역조합에서도 여성 임원 선임이 극히 저조하며, 수협 계열사 역시 상황은 비슷하다. 정치권에서는 여성 임원의 법적 비율 확대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