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연결 기준 6156억원 달성···창사 이래 최대화장품 사업 부진 시절 윤 부회장 퇴진 요구 없어하락국면마다 경영진 교체시 중장기 전략 구축 불가
콜마비앤에이치 측은 7일 입장문을 통해 "코로나19 이후 건강기능식품 시장이 전반적으로 침체됐지만 자사는 꾸준한 매출 성장을 이어왔다"며 "지난해 연결 기준 창사 이래 최대 매출인 6156억원을 달성했다"고 밝혔다. 이는 윤 대표가 단독 대표로 취임한 첫 해의 성과로, 실적 부진을 이유로 퇴진을 요구하는 것은 사실관계를 왜곡했다는 게 콜마비앤에이치 측의 설명이다.
입장문에 따르면 과거 2018~2021년 그룹 내 주요사업인 화장품이 부진을 겪는 동안 콜마비앤에이치가 그룹 내 가장 높은 외형성장과 최고 수익성을 시현했다. 콜마비앤에이치는 "당시 화장품 사업의 부진을 책임지고 윤 부회장이 퇴진하라는 요구는 없었다"며 "경기에 민감한 소비재산업에서 하락국면마다 경영진을 교체해야 한다면 어떤 경영진도 중장기 전략을 구축하기 어렵다"고 반박했다.
또 회사 측은 그동안 콜마비앤에이치의 경영은 완전히 독립적으로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콜마홀딩스의 관리 하에 운영됐으며, 수년간 정기적인 대면보고를 통해 콜마홀딩스가 사업 전략과 의사결정에 관여해왔다고 설명했다. 따라서 미래 성장동력 확보를 위한 신사업 제안과 투자 계획도 지주사 차원에서 대부분 반려됐다는 게 콜마비앤에이치의 주장이다.
아울러 콜마홀딩스에서 윤여원 대표의 경영실패 사례로 언급한 콜마생활건강 역시 윤동한 회장과 윤상현 부회장이 컨펌하고 그룹의 사전조율 아래 시작된 사업이다. 따라서 이를 사업실패로만 판단하는 것은 근시안적인 시각이라고 설명했다.
콜마비앤에이치는 "HK이노엔도 지난 2022년 뉴틴 150억원 적자 후 철수한 경험이 있고, 콜마홀딩스 역시 플래닛147(화장품 신규브랜드 인큐베이팅 플랫폼) 사업 시작 후 적자 지속 중"이라며 "어떤 회사도 신사업을 이익 창출만을 위해 운영하진 않는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윤 대표는 홀딩스의 방해에도 불구하고 원료 포트폴리오 혁신, R&D 인프라 강화, 생산·영업·SCM의 전반적 효율화 등을 추진해 2025년 매출 6350억원(+3% YoY), 영업이익 320억원(+30% YoY), 영업이익률(OPM) 5%를 전망하며, 구조적 체질 개선의 효과가 가시화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윤여원 대표는 "이번 경영권 분쟁으로 인해 콜마비앤에이치가 사회적으로 많은 심려를 끼친 점에 대해 주주와 국민 여러분께 진심으로 사과드린다"고 전하며 "수많은 외부적 제약과 도전이 있었지만 콜마비앤에이치의 지속적인 성장과 경영 안정화를 위해 흔들림없이 앞으로 나아가겠다"고 했다.

뉴스웨이 현정인 기자
jeongin0624@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