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평 100위 내 다수 400% 초과 부채비율HUG 보증업체 39% 위험 단계 진입정부, 체계적 PF 구조 개편 요구
10일 업계에 따르면 동우건설은 지난 5일 서울회생법원에 회생절차를 신청했다. 1992년 설립된 동우건설은 시공능력평가 174위의 중견 건설사로 공공공사를 중심으로 성장해왔지만 미분양 오피스텔 프로젝트의 실패가 결정타가 됐다. 대구·김포 등지의 PF사업장이 줄줄이 좌초되면서 470억원 규모의 연대보증 채무와 200억원에 달하는 공사 미수금을 견디지 못한 결과다.
한동안 잠잠하던 법정관리 신청이 다시 현실화되며 업계에서 제기됐던 '9월 위기설'이 예언이 아닌 현실로 다가오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신동아건설, 삼부토건, 신한종합건설 등 이름 있는 중견사들이 줄줄이 쓰러진 데 이어, 또 한 곳이 무너진 것이다.
건설사들의 폐업 속도는 통계로도 확인된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올해 1~8월 폐업한 종합건설사는 437곳으로 전년 동기 대비 10% 이상 늘었다. HUG의 보증거래 업체 가운데 무려 38.9%가 부실 위험 단계에 진입했다. 역대 최고치다.
단순히 경기 탓만은 아니라는 분석이다. 고질적인 부채 구조와 무리한 PF 의존이 원인으로 지목된다. 업계에서는 부채비율이 200%를 넘으면 위험 신호로 간주되며 400% 이상이면 사실상 부실 상태로 본다. 그럼에도 시평 100위 내 건설사 중에서도 금호건설, 일성건설, 이수건설 등은 여전히 400%를 넘는 부채비율을 기록 중이다.
위험한 부채 구조를 감춘 채 미분양 가능성이 높은 지방 수익형 부동산에 무분별하게 뛰어들었던 후폭풍이 지금의 연쇄 붕괴로 이어지고 있다는 비판이 나온다.
여기에 원자재·인건비 상승, 규제 강화, 공사 지연 등 외부 변수까지 겹치며 수익성은 바닥을 치고 있다. 자금 조달 여건도 급속히 악화되고 있다. 고금리 고착화로 PF 이자 부담은 계속 커지는 반면 금융권은 건설사 대출을 더욱 조인다. 특히 지방 소형 개발사업에 대한 투자 회피 분위기가 뚜렷해지면서, 중소 건설사들은 사실상 돈줄이 막힌 상황이다.
여전히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 리스크는 제거되지 않았다. 레고랜드 사태 이후 시작된 불안은 롯데건설 차환 위기, 태영건설의 워크아웃 신청 등으로 이어지며, 건설업계 전반의 체력 저하를 드러내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번 동우건설 사례가 단발성 문제가 아니라는 점에서 심각성을 짚는다. "지금처럼 자산가격에 대한 과신, 부채 의존 경영, 미분양 리스크를 무시한 영업이 계속된다면 시평 100위권 내에서도 추가적인 법정관리 사례가 나올 가능성은 매우 높다"는 경고도 나온다.
건설업계 관계자는 "현재의 위기는 돌발 상황이 아니라 예고된 파국"이라며 "정부는 단기적인 유동성 공급을 넘어서 건설업 전반의 PF 구조 개편과 체계적인 리스크 관리 장치 마련에 나서야 할 시점"이라고 지적한다.

뉴스웨이 주현철 기자
jhchul37@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