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5월 05일 월요일

  • 서울 12℃

  • 인천 14℃

  • 백령 12℃

  • 춘천 13℃

  • 강릉 13℃

  • 청주 14℃

  • 수원 15℃

  • 안동 17℃

  • 울릉도 12℃

  • 독도 12℃

  • 대전 14℃

  • 전주 14℃

  • 광주 13℃

  • 목포 13℃

  • 여수 16℃

  • 대구 19℃

  • 울산 16℃

  • 창원 20℃

  • 부산 16℃

  • 제주 13℃

금융 "예금금리만 떨어진다"···은행 예대금리차 사상 최대

금융 은행

"예금금리만 떨어진다"···은행 예대금리차 사상 최대

등록 2025.05.05 10:35

주현철

  기자

공유

3월 신한·하나 예대차, 2022년 7월 공시 후 2년9개월새 가장 커

주요 시중은행 예대금리차(대출-예금 금리)가 8개월 가까이 계속 커지면서 공시 이래 최대치를 보이는 곳이 속출하고 있다. 일부 은행의 경우 2022년 하반기 공시가 시작된 이래 최대 수준에 이르렀다.

5일 은행연합회 소비자 포털에 공시된 '예대금리차 비교' 통계에 따르면 올해 3월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에서 실제로 취급된 가계대출의 예대금리차는 1.38∼1.55%포인트(p)로 집계됐다.

예대금리차는 은행이 돈을 빌려주고 받는 대출금리와 예금자에게 지급하는 금리 간 격차로, 은행 수익의 본질적 원천이다. 예대금리차가 클수록 이자 장사를 통한 마진(이익)이 그만큼 많다는 뜻이다.

은행별로는 NH농협의 예대금리차가 1.55%p로 가장 컸고, 이어 신한(1.51%p)·KB국민(1.49%p)·하나(1.43%p)·우리(1.38%p) 순이었다.

전체 19개 은행 중에서는 전북은행의 3월 예대금리차가 7.17%p로 압도적 1위 자리를 지켰다. 2∼4위의 한국씨티은행(2.71%p)·제주은행(2.65%p)·토스뱅크(2.46%p)·광주은행(2.34%p)도 2%p를 훌쩍 웃돌았다.

2월과 비교하면, NH농협·신한·KB국민·하나·우리은행의 예대금리차가 한 달 사이 각 0.08%p, 0.11%p, 0.16%p, 0.03%p, 0.08%p 더 커졌다.

은행에 따라 가끔 뒷걸음치는 달도 있었지만, 전반적으로 작년 8월 이후 예대금리차가 확대되는 추세다. 이에 따라 NH농협·신한·KB국민·하나·우리은행의 예대금리차는 작년 7월보다 현재 0.70%p, 1.31%p, 1.05%p, 0.90%p, 1.23%p나 높아진 상태다.

지난해 3분기 수도권 주택 거래와 관련 주택담보대출이 급증하자 당국이 은행들에 대출 수요 억제를 주문했고, 이에 은행권이 8월부터 앞다퉈 가산금리 인상을 통해 대출금리를 여러 차례 올린 뒤 아직 충분히 내리지 않은 것으로 해석된다.

은행별 시계열에서도 은행연합회 공시가 시작된 2022년 7월 이래 최대 예대금리차 기록이 속출하고 있다. 신한은행(1.51%p)과 하나은행(1.43%p)의 3월 예대금리차는 공시 집계가 존재하는 2년 9개월 사이 가장 컸다.

KB국민은행(1.49%p)의 경우 2023년 1월(1.51%p) 이후 2년 2개월 만에, 우리은행(1.38%p)의 경우 2023년 2월(1.46%p) 이후 2년 1개월 만에 예대금리차가 가장 크게 벌어졌다. NH농협은행의 1.55%p도 2023년 12월(1.71%p) 이후 1년 4개월 내 최대 폭이다.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