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협, 한미중 인공지능 인재 확보 전략 및 시사점 발표AI 인재 부족 심각···기초교육 강화·해외 인재 영입 필요
20일 한국경제인협회(이하 한경협)가 박동 한국직업능력연구원 선임연구위원에 의뢰한 '한미중 인공지능 인재 확보 전략 및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의 인공지능 전문 인재 수는 2551명으로 전 세계 0.5%에 불과한 것으로 조사됐다.
인공지능 전문 연구기관인 엘리먼트 AI가 발표한 '2020 글로벌 AI 인재보고'에 따르면, 2020년 전 세계 AI 분야 전문 인재 수는 총 47만7956명으로 이 중 미국이 39.4%(18만8300명), 인도 15.9%(7만6213명), 영국 7.4%(3만5401명), 중국 4.6%(2만2191명)를 차지했다. 한국은 0.5%로 30개국 중 22위에 그쳐 전문 인재 확보 경쟁에서 크게 뒤처졌다.
보고서는 한국이 ▲범정부 차원의 컨트롤타워 구축 ▲초중고 AI 기초교육 강화(교육시수 확대, 교사 양성) ▲해외인재 영입 기반 정비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우선 AI 인재 양성을 위해 범정부 차원의 컨트롤타워 구축을 제안했다. 중국은 국무원이 국가차원의 AI 발전계획을 수립하고, 교육부가 인재 양성 실행계획을 추진한다. 미국은 국가과학기술위원회가 AI 기술발전전략을 담당하고, 교육부가 AI 기초학문인 컴퓨터 과학, STEM 교육의 컨트롤타워 역할을 하고 있다.
반면, 한국은 교육부, 과기부, 산업부, 고용부가 각각 정책을 추진하고, 시도교육청도 산발적으로 사업을 진행한다. 보고서는 '100만 디지털 인재양성'이 국정과제로 포함된 만큼, 대통령실이 컨트롤타워가 되어 AI 발전계획을 수립하고 추진 상황을 점검할 것을 제안했다.
보고서는 초중고 AI 교육에서 교육시수 확대 및 교사 확보를 추진하고 이를 위한 국가투자 확대가 필요하다고도 밝혔다. 한국은 소프트웨어 교육을 2018년부터 의무화했는데 초등 5~6학년 17시간, 중학교 3년 34시간, 고등학교 선택으로 운영해 교육이 형식적인 것으로 평가됐다. 또한, 초중고 교육 난이도에 차별성이 없어 교육이 체계적이지 않은 것으로 분석됐다.
한국은 2025년부터 기존 정보교육 시수를 2배로 늘려 초등 34시간 이상, 중 68시간 이상 실시할 예정이다.
보고서는 AI 교사 확충도 강조했다. 중국은 2001년부터 정보기술 교육을 일관되게 실시했고, 미국은 2011년부터 10년간 10만 STEM 교사 양성을 추진한 덕분에 전문교사 수가 비교적 많다. 반면, 한국은 교육부가 현직교사 중 희망자를 선정해 재교육하는 수준에서 인력수급 해소를 시도 중이다. 보고서는 AI 교육은 전문성이 중요하므로, 신규교사 임용 시 AI 자격증을 필수로 하자고 제안했다.
이 외에도 보고서는 AI 인재 확보를 위해 해외인재 영입 정책을 강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보고서는 한국 AI 인재들은 미국, 중국, 일본, 독일 등으로 유출된다고 설명하며, 민간 차원에서 높은 급여, 매력적인 연구 환경 등을 제공해 우수 인력을 유치함과 동시에 정부 차원에서 외국인 비자 규제 완화 및 한국판 천인계획 등으로 세계적 인재 영입에 힘써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동 한국직업능력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AI 경쟁력의 핵심은 곧 인재인데, 우리나라의 글로벌 AI 전문 인재 보유 비중은 0.5%에 불과하다"고 지적하며, "초중고 AI 기초교육을 강화하고 글로벌 AI 인재 영입을 위한 제도를 정비해 AI 인재 확보에 총력전을 펼쳐야 한다"고 설명했다.
추광호 한국경제인협회 경제산업본부장은 "산업계에서는 AI 인재의 양적 부족에 더해 질적 미스매치 해소가 시급하다"라고 지적하며 "우수한 전문 강사를 많이 확보하고, 초중고 단계별로 심화한 교육 프로그램을 마련해 AI 기초교육을 질적으로 업그레이드할 필요가 있다"라고 강조했다.
뉴스웨이 이지숙 기자
jisuk618@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