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06일 월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원화강세 수출입물가 하락···기업들 채산성 악화 '비명'

원화강세 수출입물가 하락···기업들 채산성 악화 '비명'

등록 2013.02.13 08:27

수정 2013.02.28 09:52

최재영

  기자

공유

그래프 : 한국은행그래프 : 한국은행


원화강세로 1월 수출입물가지수가 모두 떨어졌다. 특히 수출물가는 3년여만에 가장 큰 폭으로 떨어져 기업의 채산성에 악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한국은행이 13일 발표한 '2013년 1월 수출입물가지수'에 따르면 1월 수출물가는 전월대비 0.1%내렸다. 전년동월대비 8.1% 하락한 수치다. 수출물가지수는 작년 10월 이후 계속 하락세를 나타냈다.

농림수산품이 전월보다 1.2% 떨어져 가장 크게 하락했다. 수출주력상품인 공산품도 마찬가지다. 벙커C유(2.4%), 휘발유(2.5%), TV용 LCD(7.5%), D램(7.0%), 중형승용차(5.8%) 등의 수출물가는 올랐다. 반도체와 전자표시장치, 석탄, 석유제품은 올랐다.

계약통화기준으로 수출물가는 1.1% 하락했지만 전년 같은 달과 비교해 1.0% 하락한 것으로 조사돼 기업들이 체감경기는 더욱 악화된 것으로 조사됐다.

수입물가 역시 큰 폭으로 히릭했다.

1월 수입물가는 유가상승에도 불구하고 환율 하락의 영향으로 전월대비 0.8% 하락했다. 전년동월대비로는 10.6% 떨어져 5개월 연속 하락했다. 수입물가는 2009년 10월 15.3%로 크게 하락한 이후 3년 만에 가장 큰 하락 폭을 보였다.

특히 옥수수, 밀 등 농림수산품 하락에도 불구하고 원유, 천연가스(LNG) 등 공산품이 올라 전월대비 0.1% 상승했다. 자본재와 소비재도 전월대비 각각 2.0%와 1.1% 하락했다.

계약통화기준으로 수입물가는 전월대비 0.6% 상승했지만 전년 같은 달과 비교했을 때는 3.3% 하락했다.

최재영 기자 sometimes@

뉴스웨이 최재영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