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험
현대해상, 3분기 순이익 1832억원···車보험 553억 적자
현대해상은 2023년 3분기 순이익이 1832억원으로 전년 대비 14.2% 감소했으며, 누적 순이익도 6341억원으로 39.4% 급감했다. 자동차보험의 손실이 증가하며 적자 전환했고, 손해율 상승으로 내년 보험료 인상 가능성이 제기된다. 보험계약마진은 증가했으나 투자손익은 일부 부진한 모습을 보였다.
[총 172건 검색]
상세검색
보험
현대해상, 3분기 순이익 1832억원···車보험 553억 적자
현대해상은 2023년 3분기 순이익이 1832억원으로 전년 대비 14.2% 감소했으며, 누적 순이익도 6341억원으로 39.4% 급감했다. 자동차보험의 손실이 증가하며 적자 전환했고, 손해율 상승으로 내년 보험료 인상 가능성이 제기된다. 보험계약마진은 증가했으나 투자손익은 일부 부진한 모습을 보였다.
제약·바이오
펩트론, 스마트데포 첫 매출에도 14년 적자 탈출 '불확실'
펩트론이 장기지속형 주사제 루프원의 첫 상업 물량을 출하하며 LG화학에 본격 공급을 시작했으나, 14년 연속 적자에서 벗어나기 어렵다는 분석이다. 일라이 릴리와의 본계약 불확실성과 제2공장 일정 지연 등으로 주가가 정체되고, 실적 개선 역시 쉽지 않은 상황이다.
보험
신한EZ·하나손보 CEO, 12월 임기 만료···'디지털 탈피' 속 연임 시험대
신한EZ손보와 하나손해보험의 강병관, 배성완 대표가 12월 임기 만료를 앞두고 연임 가능성이 낮아지고 있다. 디지털보험사 전략에서 대면 영업 강화로 전환했으나, 적자가 계속 누적되어 업계의 부정적 전망이 우세하다. 플랫폼 경쟁력과 장기보험 중심 재편에도 실적 반등은 미미하다.
저축은행
노동진 회장 3년, 수협 경영 전반 '빨간불' 들어왔다
노동진 수협중앙회장 취임 후 수협은 적자경영과 연체율 상승, 부실채권 급증 등 경영 위기에 직면했다. 최근 3년간 경제사업과 상호금융 모두 적자 행진을 이어가고 있으며, 부실자산 비율은 전국적으로 상승했다. 책임론과 구조적 대응책 마련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보험
[침몰하는 디지털보험사]'디지털' 포기하는 보험사들···혁신 내세웠지만 수익성·규제에 발목
디지털보험사는 비대면영업 구조의 한계와 실적 부진, 보험업계의 동일 규제로 존립 위기를 겪고 있다. 2023년 기준 5곳이던 디지털보험사는 흑자 전환 실패, 대면 채널 강화 등으로 2곳만 남았다. 업계는 보험업법 기준 완화와 규제 유연화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다.
제약·바이오
7분기 적자 SK바이오사이언스, GBP410 임상·IDT 성장으로 전환 모색
SK바이오사이언스가 7분기 연속 적자를 기록하며 수익성 악화가 지속되고 있다. 코로나19 백신 수요 감소와 IDT 바이오로지카 매출 의존이 구조적 한계로 지적되는 가운데, GBP410 등 신약 파이프라인 개발과 계절성 백신 매출 증가를 통해 하반기 실적 개선을 도모하고 있다.
전기·전자
'애플의 계절'이 온다···'적자' LG디스플레이의 믿는 구석
LG디스플레이가 올해 2분기 1,160억원의 영업적자를 기록하며 흑자 기조에서 이탈했다. 전통적 비수기와 환율, 관세 등 대외 요인으로 실적이 악화됐으나, 하반기 애플 신제품 출시에 힘입어 스마트폰 패널 출하가 크게 늘면서 연간 흑자 전환이 기대된다. OLED 중심 전략과 원가 혁신, 재무 구조 개선에 주력하고 있다.
보험
[NW리포트]위기 끝으로 내몰린 디지털 보험사···합병 시계 빨라지나
국내 디지털보험사가 3년 이상 당기순손실을 기록하며 구조적 한계에 직면했다. 비대면 영업 중심 수익모델의 한계와 규제로 인해 실적 부진이 장기화되고, 캐롯손보의 합병 이후 다른 보험사들 역시 구조조정이나 합병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여행
칼호텔네트워크, 10년 연속 적자에 대출·담보 의존 높아져
칼호텔네트워크가 대출과 담보에 의존하는 재무구조에 머물고 있다. 한진칼이 2000억원 추가 지원을 결정했지만, 부동산 담보 여력은 소진됐으며 부채비율이 155%까지 상승했다. 실적 개선과 자산 매각이 시급한 상황이다.
식음료
소주·발포주·신사업 다 접은 신세계L&B, '적자 탈출' 안간힘
신세계L&B가 지난해 소주와 발포주, 신사업을 정리하고 와인 사업에 집중하며 수익성 중심 체질 개선에 나섰다. 신임 대표 마기환 선임과 함께 사업 구조조정이 단행됐으며, 신규 점포 오픈과 온라인 플랫폼 입점 등 본업 강화에 집중하고 있다. 경기 불황에 대응해 비용 절감과 안정적 수익 확보에 총력을 기울이는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