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기관장들과 간담회···생산적 금융·고령화 대응 강조
이찬진 금융감독원장은 23일 서울 여의도 금융투자협회에서 열린 '연구기관장 간담회'에서 이같이 말하며 금융 역할 확대를 주문했다.
이 원장은 "자금이 부동산 등 비생산적 부문에 집중되지 않도록 기업의 창업·성장·사업재편 단계별로 맞춤형 자금을 공급해야 한다"며 "금융권은 안정성 위주의 관행에서 벗어나 위험을 관리하면서도 필요 자금을 적기에 공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고령화에 따른 대응 필요성도 언급했다. 그는 "가계 자산의 64%가 부동산에 묶여 있어 은퇴 시 현금 부족에 직면할 수 있다"며 "이를 주택연금·신탁상품으로 유동화하고, 노인복지주택을 리츠와 연계하면 자본시장 성장과 복지 증진을 동시에 이끌 수 있다"고 말했다.
이날 간담회에 참석한 연구기관장들은 금융산업의 구조적 변화 대응 방안과 정책 제언을 제시했다. 이항용 금융연구원장은 "인구감소·기후변화·지방소멸 등 구조적 변화 속에서 부동산 중심 금융은 지속가능하지 않다"고 지적했다. 김세완 자본시장연구원장은 "코리아 프리미엄 실현을 위해 기업지배구조 개선과 벤처·스타트업 지원 강화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안철경 보험연구원장은 장기투자시장 조성과 기관투자자 역할 강화를, 송원근 현대경제연구원장은 CVC(기업형 벤처캐피탈) 활성화와 연금 세제 혜택 확대를 각각 제안했다.
김원준 삼성글로벌리서치 소장은 신탁제도를 통한 고령층 자산 이전과 은퇴금융 강화 필요성을 강조했으며, 박정훈 우리금융연구소 대표는 "축적된 은퇴자금이 미래 발전을 위해 활용되도록 생산적 금융 활성화를 주도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신동 KB경영연구소 소장은 제도 개선과 규제 완화를 통한 금융회사 지원을 주문했다.
이에 이 원장은 "우리 경제와 금융은 생산적 금융 확대와 고령화 대응 외에도 대외 충격, 가계부채 관리 등 복합적 과제에 직면해 있다"며 "금융당국은 위험 요인을 안정적으로 관리하면서 기업과 소비자가 목표를 안전하게 달성할 수 있도록 만전을 기하겠다"고 밝혔다.

뉴스웨이 문혜진 기자
hjmoon@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