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7월 18일 금요일

  • 서울 23℃

  • 인천 23℃

  • 백령 21℃

  • 춘천 22℃

  • 강릉 20℃

  • 청주 22℃

  • 수원 22℃

  • 안동 21℃

  • 울릉도 25℃

  • 독도 25℃

  • 대전 21℃

  • 전주 22℃

  • 광주 21℃

  • 목포 22℃

  • 여수 22℃

  • 대구 22℃

  • 울산 22℃

  • 창원 23℃

  • 부산 22℃

  • 제주 26℃

이슈플러스 한국 음식료품 물가, OECD 2위···정부 '체감물가' 대책 착수

이슈플러스 일반

한국 음식료품 물가, OECD 2위···정부 '체감물가' 대책 착수

등록 2025.06.15 16:54

양미정

  기자

공유

구매력 반영 식품물가 5년 새 25% 상승···미국·일본보다 비싸식료품·의류 등 필수품목 고공행진, 전체 소비지수는 평균 이하계란·라면 중심 맞춤 대응···원가공개·공공요금 동결 검토 고려

사진=픽사베이사진=픽사베이

한국의 음식료품 물가가 실질 구매력 기준으로 OECD 회원국 중 두 번째로 높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5년간 식품 물가가 25% 넘게 오르며 전체 소비자물가지수 상승률을 크게 상회했고, 생활밀착형 품목에서 체감물가가 유독 높은 상황이 확인됐다. 정부는 이 같은 고물가 부담을 줄이기 위해 계란, 라면 등 식품 가격 안정 대책을 조만간 발표할 예정이다.

OECD가 최근 발표한 2023년 구매력 평가(PPP) 기준 식료품 및 비주류 음료 가격 수준에서 한국은 147을 기록해 회원국 평균(100)보다 47% 높았다. 이는 스위스(163)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수치다. 미국(94), 일본(126), 독일(107), 영국(89) 등 주요국에 비해서도 한국의 식품 가격은 실질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방식으로 집계한 의류·신발 물가지수도 137에 달했으며, 교육비 역시 110으로 평균을 웃돌았다. 반면 교통, 주거, 외식 등 기타 소비 항목을 포괄한 가계 최종 소비지수(HFC)는 85에 그쳐 평균보다 낮았다. 이는 필수 생계비가 유독 비싼 '역전 현상'이 체감물가 고통을 심화시키고 있음을 보여준다.

국내 통계도 이를 뒷받침한다. 통계청이 발표한 올해 1분기 소비자물가지수는 기준연도인 2020년 대비 16% 상승한 116.03이었지만, 식품 물가지수는 125.04로 같은 기간 25%에 가까운 상승률을 기록했다. 생활필수재 중심의 생활물가지수도 119.09로 일반 물가를 크게 웃돌았다.

이재명 대통령은 최근 비상경제점검회의에서 "물가가 국민들에게 너무 큰 고통을 주고 있다"며 강한 문제의식을 드러냈다. 이에 기획재정부를 중심으로 한 범부처 물가 안정대책 마련이 본격화됐다.

정부는 계란 등 주요 농축산물에 대해 비축 물량을 조기 방출하고, 할인 행사 확대 등 유통단계 지원 방안을 추진 중이다. 또한 가공식품에 대해 원가 공개와 불공정 가격 인상 여부 조사도 병행할 방침이다. 전기·가스·철도 등 공공요금은 당분간 인상 보류 기조를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

중동 정세 불안에 따른 국제 유가 변동성 확대에 대응하기 위해 유류세 인하 조치를 재개할 가능성도 열려 있다. 정부는 "시장의 수급 흐름과 재정 여건을 반영해 빠른 시일 내 물가 안정 종합대책을 발표하겠다"고 밝혔다.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