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01일 수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산업 전기차 캐즘 여파에···배터리 3사 가동률 50%로 '뚝'

산업 에너지·화학

전기차 캐즘 여파에···배터리 3사 가동률 50%로 '뚝'

등록 2025.08.15 20:03

차재서

  기자

공유

그래픽=이찬희 기자그래픽=이찬희 기자

전기차 캐즘(일시적 수요 정체) 여파에 국내 배터리 기업의 공장 가동률이 40%대까지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15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LG에너지솔루션의 상반기 국내외 생산 능력은 20조1783억원, 평균 가동률은 51.3%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의 57.8%보다 더 떨어진 수치다. LG에너지솔루션의 가동률은 2022년 73.6%, 2023년 69.3%로 꾸준히 줄었다.

삼성SDI 역시 가동률이 감소한 것으로 파악됐다. 소형 전지 가동률이 지난해 58%에서 올 상반기 44%로 줄어들면서다. 중대형 전지의 경우 반기보고서에 공개되진 않으나, 시장에선 소형 전지와 비슷한 흐름을 보였을 것으로 진단한다.

SK온의 상반기 가동률은 52.5%다. 낮은 수준이긴 하지만, 작년의 43.6% 대비 상승했다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이 회사의 상반기 생산 실적은 8558만셀이다.

이처럼 각 기업의 가동률이 50% 수준에 머무른 것은 아직 전기차 캐즘 여파가 계속되고 있다는 방증으로 해석된다. 그간 우리 기업은 수익이 악화된 가운데 차입을 늘리고 설비 가동을 줄이는 등 대응을 이어왔다.

다만 배터리 기업은 불확실성 속에서도 미래를 위한 투자 기조를 유지하고 있다.

먼저 LG에너지솔루션은 상반기 6204억원을 R&D에 지출했다. 전체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5.2%인데, ▲2023년 3.1% ▲2024년 4.2%에 이어 늘어난 모습을 보였다.

삼성SDI의 연구개발비는 전체 매출의 11.1% 7044억원이다. 마찬가지로 작년의 7.8%보다 증가했다.

이밖에 SK온은 작년과 비슷한 1480억원을 연구개발에 썼다. 배터리 부문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3.99%다.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