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8월 15일 금요일

서울

인천 29℃

백령 29℃

춘천 30℃

강릉 29℃

청주 28℃

수원 30℃

안동 32℃

울릉도 32℃

독도 27℃

대전 31℃

전주 32℃

광주 32℃

목포 30℃

여수 31℃

대구 34℃

울산 30℃

창원 33℃

부산 31℃

제주 30℃

산업 美고율 관세·중대 재해·전기료 인상 3중고 겹친 철강업계

산업 산업일반

美고율 관세·중대 재해·전기료 인상 3중고 겹친 철강업계

등록 2025.08.15 16:01

서승범

  기자

공유

미 관세 50% 유지에 상계관세도 소폭 인상전기요금 인상 언급에 생산 원가 부담 우려중대재해법 이슈로 건설 수요 위축 심화 전망

그래픽=홍연택 기자그래픽=홍연택 기자

철강업계에 먹구름이 드리웠다. 미국 고율 관세가 유지되는 것으로 결정된 데다 중대재해법이 화두로 오르면서 출하량 감소도 우려되는 상황이다. 여기에 최근 이재명 대통령이 전기요금 인상 불가피성을 언급하면서 전기요금 인상까지 우려되고 있다.

미국은 지난 3월 외국산 철강과 알루미늄에 25% 관세를 부과한 데 이어 6월부터는 이를 50%로 상향했다. 대미 철강 수출에 대한 협의로 완화 기대감도 있었지만, 미국은 한국 철강부문에 대해 50% 관세를 유지하기로 했다. 또 미국은 한국 열연강판에 부과하는 상계관세도 1.5∼2.2%로 소폭 인상하기로 한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해 전체 수출량의 13.1%를 미국이 차지하는 만큼 타격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벌써부터 철강업계 수출 감소 추세가 이어지고 있다. 관세청에 따르면 이달 1∼10일 철강 수출액은 –18.8%를 기록했다. 철강협회에 따르면 지난 7월 대미 철강 수출량도 18만8439톤으로 작년 동월 대비 21.5% 감소했다.

정부와 여야가 이른바 'K-스틸법(철강산업 경쟁력 강화 및 녹색철강기술 전환을 위한 특별법안)'을 발의하고 8월 임시국회서 처리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지만, 분위기는 더 악화되는 모습이다.

이재명 대통령이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강조하는 과정에서 '전기요금 인상 불가피성'을 언급해 산업전기요금 인상도 우려되는 것이다.

이 대통령은 지난 14일 수석비서관 회의에서 유엔에 제출해야 하는 '2035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 준비 상황'을 점검하면서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달성하려다 보면 전기요금이 오를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실제 전력 사용량이 많은 철강업계에는 전기요금 인상이 직격탄이다. 통상 업계에서는 전기요금이 1㎾h당 1원 인상되면 연간 원가 부담은 200억원 증가한다고 추산한다. 일부 기업들의 경우 부담액이 1000억원 이상 늘어날 수 있다는 이야기도 나온다.

여기에 포스코이앤씨 사고로 인해 발발한 중대재해 관련 논의도 철강업계 부담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포스코홀딩스, 현대제철 등 주요 업체는 국내 매출의 40~50%가 건설현장을 통해 이뤄지는데 이미 위축된 건설경기에 중대재해 악재로 프로젝트가 더 줄어들게 된다면 철강 수요 자체가 크게 감소할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 건설업계에서는 중대재해처벌법과 노란봉투법 등의 영향으로 프로젝트를 수행하기가 무섭다는 이야기까지 돌고 있는 상황이다.

업계 관계자는 "'K-스틸법'이 준비 중이지만, 효과가 나타나기까지 국내 (철강)기업들이 버틸 수 있을지 의문"이라며 "가뜩이나 경기침체에 수요가 더 줄어들 것으로 보여 타격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