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7월 07일 월요일

  • 서울 32℃

  • 인천 32℃

  • 백령 32℃

  • 춘천 35℃

  • 강릉 30℃

  • 청주 34℃

  • 수원 32℃

  • 안동 36℃

  • 울릉도 27℃

  • 독도 27℃

  • 대전 35℃

  • 전주 35℃

  • 광주 35℃

  • 목포 32℃

  • 여수 33℃

  • 대구 37℃

  • 울산 33℃

  • 창원 35℃

  • 부산 34℃

  • 제주 30℃

산업 HD현대일렉트릭, ESS 데이터 기반 'HiESS'로 시장 선점 나선다

산업 에너지·화학

[단독]HD현대일렉트릭, ESS 데이터 기반 'HiESS'로 시장 선점 나선다

등록 2025.07.07 11:22

황예인

  기자

공유

AI한입뉴스
ai 아이콘
AI한입뉴스

OpenAI의 기술을 활용해 기사를 한 입 크기로 간결하게 요약합니다.

전체 기사를 읽지 않아도 요약만으로 핵심 내용을 쉽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Quick Point!

HD현대일렉트릭이 'HiPMS'와 'HiESS' 자체 브랜드로 ESS(에너지저장장치) 데이터 기반 신사업을 본격 추진

재생에너지 확산 흐름에 맞춰 에너지관리 솔루션 시장 선점 목표

자세히 읽기

'HiESS'는 데이터와 AI로 ESS 건전성 실시간 진단 및 맞춤형 솔루션 제공

'HiPMS'는 전력 사용량, 프로젝트 진척도 등 ESS 사업 현황 전반 모니터링 프로그램

두 브랜드 모두 에너지관리 플랫폼 구축에 초점

배경은

글로벌 탄소중립 정책과 재생에너지 보급 확대가 ESS 신사업 배경

2030년까지 전 세계 재생에너지 용량 2.7배 증가 전망

HD현대일렉트릭, 친환경 에너지 전환에 맞춰 기술 확보 집중

향후 전망

기존 전력기기 중심에서 데이터 기반 사업으로 영역 확장 예상

AI 활용 에너지관리 솔루션 상업화로 통합 에너지 플랫폼 고도화 가능성

국내외 ESS 수요 급성장에 선제적 대응 강조

HD현대일렉, 5~6월 'HiPMS'·'HiESS' 상표 출원ESS 솔루션 사업···친환경 에너지 트렌드 발맞춰향후 통합 에너지 플랫폼 형태로 확장될 가능성

그래픽=박혜수 기자그래픽=박혜수 기자

HD현대일렉트릭이 'HiPMS'와 'HiESS'라는 자체 브랜드를 전면에 내세워 ESS(에너지저장장치) 데이터 기반의 신사업 추진을 가속화하고 있다. 전 세계적인 재생에너지 중심 정책에 발맞춰 차별화된 에너지관리 솔루션을 제공함에 따라 시장 수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겠다는 복안이다.

7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HD현대일렉트릭은 지난달 4일 법무법인 유한세종을 통해 'HiESS'라는 이름의 새로운 상표를 출원했다. 해당 상표는 'Hyundai Intelligence'의 약칭과 'ESS Safety System'의 각 앞 글자를 결합해 만든 이름이다.

'HiESS'의 지정 품목으로는 ▲데이터베이스 관리용 컴퓨터 소프트웨어 ▲에너지 관리시스템용 전자제어시스템 ▲에너지관리용 전기제어장치 ▲원격모니터링장치 ▲데이터 분석용 컴퓨터 서비스업 ▲에너지관리진단업▲전력량 분석용 컴퓨터 소프트웨어 유지관리업 ▲전력종합보호제어 운영시스템 소프트웨어 개발업 등이 있다.

HD현대일렉트릭 관계자는 "'HiESS' 솔루션은 ESS의 건전성 분석과 관련된 시스템으로, 데이터와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해 실시간 진단 정보와 맞춤형 솔루션을 제공한다"고 설명했다

앞서 HD현대일렉트릭은 지난 5월 'HiPMS'라는 이름의 상표도 출원한 바 있는데, 이 역시 에너지 관리 솔루션 개발의 일환으로 추정된다. 지정 품목으로 ▲에너지 관리시스템용 전자제어시스템 ▲전기측정기기 ▲전력설비진단기계기구 ▲전력 저장시스템 연구개발업 등이 포함된다.

'HiPMS'는 'Hyundai intelligent'의 각 앞 글자와 'Power Management System'의 앞 철자를 합쳐 만든 명칭이다. ESS 사업 관련 프로젝트의 계획 수립부터 진척도, 전력 사용량까지 전반적인 현황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프로그램인 것으로 파악됐다. HD현대일렉트릭은 이 두 가지 솔루션을 통해 에너지 플랫폼을 구축하고 시장 경쟁력을 확보하려는 구상이다.

HD현대일렉트릭이 ESS 신사업에 힘주는 배경에는 글로벌 탄소중립 정책과 재생에너지 확대 흐름이 맞물려 있다. 에너지경제연구원의 '세계 재생에너지 시장 현황과 2030년 보급 전망' 보고서를 살펴보면 전 세계 재생에너지 용량은 2024년부터 2030년까지 2.7배 증가하며 각국 정부의 2030년 목표를 초과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따라 회사도 친환경 에너지 전환 기조에 발맞춰 관련 기술 확보에 집중하려는 것으로 풀이된다.

회사는 최근 '지속가능경영보고서 2024'를 통해 에너지 신사업 확대 의지를 드러내기도 했다. HD현대일렉트릭은 이번 보고서를 통해 "국내뿐 아니라 해외(미국, 유럽 등) ESS 수요가 급성장하고 있는 시장 수요에 사전 대응은 필수적"이라며 "에너지관리 플랫폼 기반의 에너지 절감 솔루션 등을 제공·운영하는 사업 확대 추진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회사는 ESS 사업 관련 브랜드화를 계기로 기존 전력기기 중심의 사업에서 데이터 기반의 사업으로 영역을 확장할 것으로 보인다. AI를 활용한 에너지 관리 솔루션을 상업화하면서 두 브랜드가 향후 '통합 에너지 플랫폼' 형태로 고도화될 가능성에도 무게가 실린다

HD현대일렉트릭 관계자는 "두 상표 모두 ESS 사업과 관련된 신규 브랜드가 맞다"고 전했다.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