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판에 휘말린 HMM···갑작스런 본사 이전 이슈'직원 동의'에 당혹···"육·해상 노조 동의한 적 없어"
이재명 후보는 지난 14일 부산 부산진구 서면 젊음의 거리 유세에서 "HMM이 부산으로 옮겨오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부산을 '해양수도'로 만들겠다는 이 후보는 '북극항로'를 명분으로 내세웠다. "2030년이면 북극항로가 활성화 될 것이고 세계는 북극항로에 집중하게 돼 있다"며 "지금 준비하지 않으면 늦다"는 것이다.
특히 이 후보는 "민간 회사라 쉽지 않지만 정부 출자 지원이 있기 때문에 마음먹으면 불가능은 아니다. 회사를 옮기는 데 가장 큰 장애요인이 직원들인데 직원들이 동의했다고 한다"며 HMM 부산 이전을 전격적으로 구상하는 모습이다.
느닷없는 본사 이전 논란에 HMM도 혼란에 빠졌다. 갑작스럽게 대선판에 휘말린 것도 모자라 사전에 '직원 동의'까지 있었다고 하니 내부에선 혼동이 가중되는 분위기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직원 동의를 받았다"는 이 후보의 발언은 사실과 다르다.
한 HMM 관계자는 "몇 년 전부터 지역사회에서 HMM 이전 요구가 있었던 것은 사실이지만 이와 관련해 내부적으로 이야기가 오고간 건 전혀 없었다"며 "부산 이전에 대한 찬반 의견을 수렴하거나 직원 동의를 구한 절차는 없었다"고 분명히 했다.
이 후보가 언급한 '직원 동의'는 일부 노조의 의견에 국한된 듯하다. 하지만 이마저도 사실과는 다른 부분이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HMM에는 전국사무금융노동조합 HMM지부(육상 노조)와 HMM 해원연합노조(해상 노조) 등 두 개의 노조가 있다. 이 가운데 육상 노조(민주노총) 소속은 약 750명, 해상노조(한국노총) 소속은 약 600명이다.
직원 동의는 선원 노조로부터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민주당 중앙선대위가 부산 핵심 공약을 추진하는 북극항로 추진위원회 산하 '해운기업 본사 유치단' 공동 단장으로 전정근 HMM 해원연합노조위원장을 영입하면서부터다.
일부 노조의 의견이 전체 직원의 동의인 것처럼 와전된 것이다. 자칫 내부적인 갈등의 여지까지 남겨놓은 상황이다. 하지만 이마저도 내부 취재 결과, 육·해상 노조 모두 협의와 동의가 없었던 것으로 파악된다.
특히 전체 노조의 과반 이상을 차지하는 사무직 노조는 반대의 입장을 분명히 하고 있어 HMM 부산 이전은 사실상 쉽지 않을 전망이다. HMM 직원 1890명 중 육상직은 1063명에 달한다.
정성철 HMM육상노조 위원장은 이 후보의 본사 이전 발언 이후 곧장 메일을 통해 "부산 이전에 협의한 바 없다"고 노조원들에게 알렸다.
정 위원장은 "인천공항을 통해 입국하는 해외 고객사 관계자들을 만나기에는 서울이 더 효율적"이라며 "본사를 부산으로 옮기면 핵심 인력이 이탈할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직장인 커뮤니티 내에서도 "동의한 적 없다", "공기업도 아닌 민간기업을 왜 맘대로 하냐"는 등 본사 이전을 반대하는 HMM 직원들의 목소리가 터져나오고 있다.

뉴스웨이 김다정 기자
ddang@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