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서울 26℃

인천 26℃

백령 27℃

춘천 29℃

강릉 30℃

청주 30℃

수원 27℃

안동 32℃

울릉도 27℃

독도 27℃

대전 31℃

전주 31℃

광주 31℃

목포 31℃

여수 31℃

대구 34℃

울산 32℃

창원 33℃

부산 32℃

제주 30℃

산업 KAI, 길어지는 수장 공백···슬그머니 다시 고개드는 '민영화' 가능성

산업 중공업·방산

KAI, 길어지는 수장 공백···슬그머니 다시 고개드는 '민영화' 가능성

등록 2025.08.14 14:44

김다정

  기자

공유

AI한입뉴스
ai 아이콘
AI한입뉴스

OpenAI의 기술을 활용해 기사를 한 입 크기로 간결하게 요약합니다.

전체 기사를 읽지 않아도 요약만으로 핵심 내용을 쉽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Quick Point!

KAI 사장 공백 사태 한 달째 지속

차기 사장 인선 놓고 내홍 심화

민영화 가능성 재부상

현재 상황은

강구영 전 사장 사임 후 차재병 부사장이 직무 대행

유력 후보로 강은호, 류광수, 문승욱 등 거론

정부 핵심 인사 마무리 후 사장 인선 가속 전망

노조 반발

노조, 류광수·강은호 후보에 강력 반대

정권 낙하산 인사 반복 우려

총력투쟁 예고하며 인사 투명성 요구

맥락 읽기

KAI 최대주주 한국수출입은행, 정부 지분 35% 육박

정권 교체 때마다 사장 교체 반복, 내부 피로도 누적

방산 호황 속 민영화 필요성 커지는 분위기

향후 전망

후임 사장 인선 방향에 따라 민영화 추진 여부 가늠 가능

정치권·군 출신 인사 기용 시 낙하산 논란 재점화 우려

경영 전략 연속성과 경쟁력 확보가 최대 과제

수출입은행 등 정부 지분 구조가 변화의 핵심노조, 정치색 짙은 후보 반대하며 갈등 예고정권 교체 때마다 반복되는 낙하산 인사 문제

한국항공우주산업(KAI) 수장 공백 사태가 한 달 넘게 이어지고 있다. 사진=KAI 제공한국항공우주산업(KAI) 수장 공백 사태가 한 달 넘게 이어지고 있다. 사진=KAI 제공

한국항공우주산업(KAI) 수장 공백 사태가 한 달 넘게 이어지고 있다. 차기 사장 인사를 놓고 내홍까지 불거진 상황에서 이번 인선을 계기로 해묵은 '민영화' 가능성도 다시 고개를 들고 있다.

14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KAI는 지난 6월 이재명 정부 출범과 함께 강구영 전 사장이 사의를 표명한 이후 수장 공백 체제가 장기화되고 있다. 현재는 차재병 부사장이 사장 직무 대행으로 회사를 이끌고 있다.

강 전 사장의 사임 직후 강은호 전북대 교수와 류광수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부사장, 문승욱 전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등 유력 후보가 하마평에 올랐다. 신임 KAI 사장에 대한 무성한 소문이 이어졌지만, 빠르게 사장 선임이 이뤄질 것이라는 예상과 달리 한 달 넘게 수장 자리가 공석인 상태다.

업계에선 이재명 대통령이 여름휴가 이후 업무에 복귀함에 따라 정부가 장관 인선 등 조직 정비를 서두르면 KAI 사장 인선 역시 탄력을 받을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최대주주인 한국수출입은행 행장 임명과 방위사업청장 유임 여부 등 핵심 인사가 마무리되면 KAI도 이사회와 주주총회를 통해 새 수장을 선임할 전망이다.

향후 사장 인선 결과에 따라 적지 않은 후폭풍도 예고된다. 노동조합은 류광수·강은호 후보에 '반대' 입장을 표명하며 총력투쟁을 예고한 상태다. 두 후보는 지난 대선 당시 이재명 대통령 후보 캠프에서 활동한 이력이 있다.

무성한 소문과 함께 사장 인선이 늦어지는 사이 내부적으로는 혼란이 가중되는 분위기다. 특히 정권 교체 때마다 반복되는 낙하산 인사 논란과 수장 교체 잔혹사로 KAI 민영화 가능성이 다시 고개를 들고 있다.

KAI는 한국수출입은행이 지분 26.41%를 보유하고 있는 최대주주로, 이사회 구성과 사장 선임 등에서 실질적인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2대 주주인 국민연금공단은 지분 8.31%를 보유하고 있다. 사실상 정부 지분율이 35%에 육박한다. '민간기업의 탈을 쓴 공기업'이라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사실상 정권 교체 때마다 매번 사장이 바뀌고, 이 과정에서 직원들의 피로도도 함께 커질 수밖에 없는 구조다. 여기에 최근 글로벌 방산 호황과 맞물려 경영 정상화와 경쟁력 확보를 위해서라도 그 어느 때보다 민영화의 필요성이 큰 상황이다.

실제로 이재명 대통령은 후보 시절부터 방산 수출 전략회의 신설을 공약하고 민간 주도 우주산업 필요성을 강조해온 만큼 KAI의 '정부 입김'을 줄이는 방향의 구조 개편이 본격 추진될 여지가 있다.

그동안 경쟁자들이 공격적 투자로 대형 인수합병(M&A)이나 투자에 나서는 사이, KAI는 태생적 한계로 어려움을 겪었다. 수출입은행 입장에서는 투자 실패로 이어질 수 있는 과감한 결단보다 안정적인 현상 유지가 더욱 도움이 되는 방식을 우선할 수밖에 없다.

지난해 KAI는 "돈을 빌려서라도 투자하겠다"는 강 전 사장의 기조 아래 '1조5000억원 규모' 중장기 투자 플랜을 가동했다. 방산 호황 속에서 적극적인 투자로 퀀텀점프의 기반을 다지겠다는 의도다. 하지만 강 전 사장이 물러나고 수장이 바뀐다는 점에서 회사 경영 전략의 '연속성'에 대해 의문이 남는다.

KAI 민영화 추진 여부는 향후 후임 인사를 통해 가늠해볼 수 있을 전망이다. 이전과 마찬가지로 정치권 또는 군 출신 인사가 다시 기용된다면 낙하산 관행은 반복될 가능성이 크다. 노조가 이번 사장 인선이 단순한 수장 교체가 아니라 중대한 분기점이라고 강조하면서 낙하산 인사에 반대의 목소리를 높이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KAI 노조는 "강구영 전 사장 후임으로 정권 입맛에 맞는 인사가 언급되고 있다"며 "구성원과 정서적 공감대가 형성되지 않는다면 총력투쟁에 돌입하겠다"고 경고했다.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