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증권일반
MBK·홈플러스, 검찰에 넘긴 금융당국···"제 살 깎으라" 재차 주문
김병환 금융위원장과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홈플러스의 사태 해결을 위해 MBK파트너스 김병주 회장에게 사재출연을 촉구하며 압박 수위를 높였다. MBK의 책임 있는 행동을 요구했고, 해외 도피 가능성까지 언급했다. 금융당국의 강한 메시지에도 불구하고 MBK와 홈플러스는 별다른 입장을 내놓지 않고 있어, 채권단 간의 긴급한 협력과 가이드가 필요한 상황이다.
[총 167건 검색]
상세검색
증권일반
MBK·홈플러스, 검찰에 넘긴 금융당국···"제 살 깎으라" 재차 주문
김병환 금융위원장과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홈플러스의 사태 해결을 위해 MBK파트너스 김병주 회장에게 사재출연을 촉구하며 압박 수위를 높였다. MBK의 책임 있는 행동을 요구했고, 해외 도피 가능성까지 언급했다. 금융당국의 강한 메시지에도 불구하고 MBK와 홈플러스는 별다른 입장을 내놓지 않고 있어, 채권단 간의 긴급한 협력과 가이드가 필요한 상황이다.
금융일반
이복현 금감원장, "김병주 MBK 회장, 해외 도피 가능성 '유념'"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홈플러스 최대주주인 MBK파트너스 김병주 회장의 해외 도피 가능성에 대해 "유념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 원장은 28일 국회 정무위원회 현안질의에서 강준현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관련 질문에 "수사 전문기관에서 판단할 사안"이라고 전제하면서도, 김 회장의 해외 도피 가능성을 인식하고 있다고 답했다. 강 의원은 김 회장이 해외를 자주 오가는 점을 지적하며 출국금지 조치 필요성을 제기했다. 강 의원은 "MBK파트너스와
유통일반
'홈플러스 사태' 일파만파...전방위 압박 받는 MBK
홈플러스 사태로 인해 MBK가 검찰과 금융당국, 국회의 압박을 받고 있다. MBK는 신용등급 하락을 사전에 인지하고도 채권을 발행한 혐의로 검찰 조사를 받으며 금융당국은 이를 뒷받침하고 있다. 노조와 사회단체는 김병주 회장에게 사재 출연을 요구하면서 대중의 관심이 모이고 있다.
채널
홈플러스·MBK "회생 신청 미리 계획하지 않았다"
홈플러스와 MBK파트너스는 신용등급 하락에 따른 유동성 위기를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회생 절차에 착수했으며, ABSTB 발행에는 관여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발행은 신영증권 주도로 진행됐고, 홈플러스는 부채비율 개선과 자금보충 약정 등 자구책에 힘썼다고 설명했다.
증권일반
"홈플러스 대주주-채권단 주객 전도됐어"··· 이복현, MBK에 진정성 재차 요구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홈플러스와 MBK파트너스에 대한 회생 절차가 주객이 전도된 상황이라고 비판했다. 채무자인 MBK와 홈플러스가 납품업체와 임대인에게 희생을 강요하며 책임을 회피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금감원은 검찰과 협력하여 MBK파트너스와 홈플러스 관련 의혹을 철저히 조사할 계획이다.
증권일반
MBK, 홈플러스 신용등급 강등 방어 위해 '1000억 신용공여' 제안
홈플러스는 신용등급 강등을 방어하기 위해 MBK파트너스로부터 1000억원 크레딧 라인을 제안받았다. RCPS 상환 조건을 변경해 부채비율을 낮추려는 전략도 세웠다. 금융당국은 이 과정을 사기적 부정거래 혐의로 보고 검찰에 통보했으며 홈플러스의 위기 대처방안이 주목받고 있다.
증권일반
김소영 부위원장 "MBK·홈플러스 부정거래 조사, 법·절차 따라 엄정대응할 것"
금융당국이 MBK파트너스와 홈플러스 경영진의 사기적 부정거래 혐의에 대해 법과 절차에 따라 엄중하게 대응할 계획이다. 금융감독원의 조사를 기반으로 증권선물위원회 긴급조치로 검찰에 통보될 예정이며, 관련해 증권사들이 경영진을 고소한 사건의 심각성도 부각되고 있다.
증권일반
금융당국, 홈플러스 사태 검찰 이첩···MBK 전방위 압박 가속
금융당국이 기업회생 절차를 밟고있는 홈플러스와 대주주 MBK파트너스 경영진을 검찰에 넘겨 수사가 본격화될 전망이다. 20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위원회는 이번주 초 홈플러스와 대주주 MBK파트너스 경영진의 사기적 부정거래 혐의를 증권선물위원장 긴급조치(패스트트랙)로 검찰에 통보한다. 증권선물위원회는 오는 23일 정례회의를 하는데, 검찰 통보는 그 전에 이뤄질 가능성이 높다. 김병주 MBK파트너스 회장을 비롯해 김광일 MBK 부
채널
홈플러스 "온라인 단골 고객 증가세"
홈플러스는 지난 3월 자사 온라인몰의 최상위 등급 고객인 VIP+ 고객 수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3% 늘었다고 17일 밝혔다. 홈플러스의 단골 고객은 자사 통합 멤버십인 '마이홈플러스' 회원 가운데 VIP+ 등급에 해당하는 고객으로, 주로 온라인몰을 통해 반복적으로 구매를 이어가는 충성 고객층이다. 회사 측에 따르면 단골 고객 수는 2년 연속 증가세를 이어가고 있다. 지난해 3월 기준 VIP+ 고객은 전년 동월 대비 104% 늘었으며, 올해 3월에도 4%
식음료
bhc, 다이닝브랜드그룹 법인 통합 계획 좌초
bhc의 법인 통합 계획이 주주 반대로 무산되면서 MBK파트너스의 엑시트 전략에 차질이 예상된다. 계열사의 합병 실패는 매출 성장과 기업 가치 제고 기회를 놓쳤으며, MBK는 홈플러스와 오스템임플란트 문제로 전방위적 위기를 겪고 있다. 오스템임플란트의 고배당 논란도 지속되고 있다.
+ 새로운 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