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달 말 전국 57개 단지 분양 예고규제지역 확대·추가 대출 압박 변수
14일 분양업계에 따르면 이번 주 서울에서는 현대건설이 동작구 사당동에 시공하는 '힐스테이트 이수역센트럴'(170가구)의 일반분양이 진행 중이다. 경기도에서는 고양의 '식사 푸르지오 파크센트'(대우건설, 36가구), 용인의 '힐스테이트 용인포레'(현대엔지니어링, 민간임대 390가구) 등이 청약을 받고 있다.
지역에서는 청주 흥덕구 '롯데캐슬 시그니처'(459가구)를 비롯해 LH의 공공분양 단지인 원주 '무실지구 A-2블록'(295가구), 울산 '태화강변지구 A-2블록'(277가구) 등 전국 10개 단지에서 총 1937가구가 분양된다.
연휴 직전이었던 지난달 말부터 이달 초까지 약 1만 가구가 공급되며 분양 시장이 활기를 띠었지만 이번 주 들어선 잠시 숨 고르기에 들어간 모습이다. 다만 10월 전체 예정 분양 물량은 5만 가구를 웃돌며 2021년 12월 이후 최대 수준을 기록할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부동산R114에 따르면 이달 전국 57개 단지에서 총 5만1121가구(임대 포함)가 분양을 예고했다. 서울에서는 '아크로드서초'(DL이앤씨, 1161가구), '더샵 신풍역'(포스코이앤씨, 2030가구) 등이 대표적이다.
경기권에서는 광명의 '힐스테이트광명11'(현대건설, 4291가구), 파주의 '운정아이파크시티'(HDC현대산업개발, 3250가구), 안양 '자이헤리티온'(GS건설, 1716가구), 평택 '브레인시티비스타동원'(동원개발, 1600가구) 등이 대규모 단지로 주목받고 있다. 인천에서도 미추홀구 학익동 '시티오씨엘8단지'(1349가구), 용현동 '인하대역수자인로이센트'(1199가구) 등 서울·수도권 전체 물량은 약 3만 가구로, 전국의 60% 이상을 차지할 전망이다.
지역에서는 청주 '두산위브더제니스청주센트럴파크'(1618가구), 부산 '동래푸르지오에듀포레'(1481가구), 김해 '안동에피트'(1539가구) 등 총 2만910가구의 공급이 예정돼 있다.
충북(3337가구), 광주(3216가구), 부산(2700가구), 충남(2370가구), 경북(2197가구), 경남(1926가구), 대전(1429가구) 순으로 많다.
그러나 활발해질 것으로 보였던 분양시장 분위기는 최근 다시 얼어붙고 있다. 정부가 조만간 규제지역 확대 및 대출 규제 강화를 골자로 한 부동산 안정화 대책을 발표할 가능성이 높아졌기 때문이다.
업계에 따르면 정부·여당은 서울 전역을 조정대상지역 및 투기과열지구로 재지정하고 경기 일부 지역도 포함하는 방안을 유력하게 검토 중이다. 이 경우 주택담보인정비율(LTV)은 기존 70%에서 40%로 축소되며 총부채상환비율(DTI)도 40%로 강화된다. 일부 고가 주택의 경우 LTV를 0%로 적용해 사실상 주택담보대출이 불가능해질 수 있다.
또한 전세를 낀 매매를 막기 위한 토지거래허가구역(토허제) 확대도 예고됐다. 현재 외국인 대상 규제는 서울 전역 및 인천·경기 일부 지역에 적용 중인데 이를 내국인까지 포함해 지정 범위를 넓히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
이처럼 금융과 거래 양측에서 압박이 가해질 경우 청약 수요가 위축될 수밖에 없다는 것이 분양업계의 우려다. 실제로 일부 단지는 분양 일정을 다시 조율하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한 건설사 관계자는 "가을 분양 성수기를 앞두고 대규모 물량이 대기 중이지만, 규제안이 현실화되면 청약률 하락이 불가피할 수 있다"며 "정책 발표 이후 시장 반응을 지켜보며 분양 일정을 조정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뉴스웨이 권한일 기자
kw@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