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금융 이복현 "美 신용등급 강등 안전자산 지위 약화"···건전한 시장질서 당부

금융 금융일반

이복현 "美 신용등급 강등 안전자산 지위 약화"···건전한 시장질서 당부

등록 2025.05.20 14:31

박경보

  기자

공유

이복현 금융감독원장. 사진=금융감독원이복현 금융감독원장. 사진=금융감독원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미국 신용등급 강등과 관련해 국내 금융권의 환위험 및 외화유동성 관리에 철저히 해달라고 지시했다. 동시에 금융산업 내 유효경쟁 촉진과 건전한 시장질서 확립도 함께 당부했다.

이 원장은 20일 임원회의를 열고 "최근 미국 신용등급 강등이 과거 사례와 비교해 시장 충격은 제한적이지만 대내외 위험 요인이 산재한 상황에서 경계심을 늦춰선 안 된다"며 이 같이 밝혔다.

금감원에 따르면 과거 2011년 8월 S&P의 강등 당시 유럽 재정위기로 인해 오히려 미국 국채와 달러가 강세를 보였다. 2023년 8월 피치(Fitch)의 강등은 금리 급등과 맞물려 국채는 약세, 달러는 강세를 나타낸 바 있다. 이번 강등은 정책 신인도 저하와 경기둔화가 겹친 시점에서 발생해 미국 국채와 달러화의 안전자산 지위 약화 우려를 더욱 키울 수도 있다는 게 이 원장의 생각이다.

이 원장은 "이번 사태는 미국 관세정책의 불확실성이 커진 상황에서 발생한 만큼 장기적으로는 글로벌 투자자들의 자금 흐름에도 구조적 변화를 유도할 수 있다"며 "F4 중심의 긴밀한 공조를 통해 국내 금융시장의 안정성 확보에 만전을 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금융업권의 경쟁 환경과 관련해 일부 금융 인프라의 과점 구조와 금융회사 간 정보 교환 행위가 공정한 경쟁을 제한할 수 있다는 우려도 언급했다.

이 원장은 "필요한 금융안정 조치가 자칫 경쟁제한 논란을 야기할 수 있고, 반대로 경쟁촉진 조치는 금융안정성과 소비자 권익 보호를 해칠 수 있다"며 "양자 간 균형을 유지하면서 종합적인 소비자 후생을 증진하는 방향으로 제도 설계를 고민해야 한다"고 짚었다.

끝으로 이 원장은 "건전한 경쟁질서를 확립하기 위해 금융회사와 소비자 간 정보 비대칭 해소, 금융당국과 경쟁당국 간 협조체계 강화 등 공정금융 과제를 다각도로 추진해달라"며 "취약한 금융사가 경영상 위기를 넘기기 위해 무리하게 저가 금융상품을 내놓으려는 유인이 큰 만큼 건전성을 담보한 경쟁촉진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