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일 이사회 개최해 2025년 경영목표 발표3년간 100조원 규모 '대한민국 리바운드 프로그램'
산업은행은 26일 이사회를 개최하고, 대한민국 대표 정책금융기관으로서 엄중한 국내외 경제 상황과 정부의 경제정책방향에 대응하기 위해 2025년 경영목표를 '대한민국 산업 육성에 A.I.(All-in)하는 더 큰 KDB'로 설정했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첨단전략산업 육성, 녹색전환 선도, 지역성장 견인 및 시장 안전판 역할 수행 등 정부의 '신산업·금융정책'을 지원하는데 모든 역량을 집중한다.
우선 반도체·AI 등 국가적으로 중요한 첨단전략산업 분야 육성을 위해 3년간 총 100조원 규모의 '대한민국 리바운드 프로그램'을 본격 추진한다. 특히 시행 첫해인 2025년에는 최저 국고채 금리 수준의 반도체 설비투자지원 프로그램을 신규 출시하는 등 약 30조원 규모의 정책자금을 공급해 국내 첨단전략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지원할 계획이다.
또한, 산은이 최대 출자자로 참여하는 '미래에너지펀드' 1단계 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한다. 1단계 사업은 총 1조2600억원 규모다. 기업의 공급망 저탄소화를 위한 탄소감축 설비투자 및 저탄소산업 육성 지원 등을 위해 녹색금융 지원을 확대해 국가 기후금융은행(K-Climate Bank)으로서 국내 산업의 녹색전환 가속화 견인에도 나선다.
비수도권 산업·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지역 벤처 생태계 조성, 녹색전환 및 사업재편 등을 촉진하기 위한 금융지원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지역의 벤처투자 활성화를 위해 '지역 혁신펀드' 출자사업을 신규로 추진하는 한편 전통 제조업의 체질개선을 위한 사업구조 전환 전용상품을 확대 운영한다.
아울러, 최근 대내·외 경제 불확실성이 증대됨에 따라 '회사채·CP차환 지원' 등을 포함한 41조8000억원 규모의 시장안정 프로그램의 상시 가동체계를 유지한다. 필요시에는 정부 및 유관기관과의 협의를 통해 지원대상, 규모 등을 확대해 금융시장을 조기 안정화하겠다는 방침이다.
이 외에도 그간 사각지대였던 중견기업의 사전적 기업개선을 위한 신규 프로그램 도입도 추진한다. 이를 통해, 대한민국 경제의 중추 역할을 하는 중견기업의 안정적인 경영활동 및 경쟁력 강화를 적극 지원할 계획이다.
마지막으로 산업은행은 지속가능하고 원활한 정책금융 수행을 위해 'SSA-style 글로벌 본드' 발행 등 국제 조달시장에서 대한민국 대표 차주로서 외화자금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예정이다. 정부·기업·연구기관 등 각계 전문가들과의 소통의 장인 'Next100 포럼'을 개최해 정부의 R&D센터 역할 수행도 적극 수행할 계획이다.
산업은행 관계자는 "2025년은 대한민국 경제에 거대한 도전과 기회가 공존하는 한 해가 될 것"이라며 "대한민국 경제의 1%를 책임지는 대표 정책금융기관으로서 역할을 적극적으로 수행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뉴스웨이 이지숙 기자
jisuk618@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