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9월 14일 일요일

서울 25℃

인천 26℃

백령 26℃

춘천 24℃

강릉 24℃

청주 26℃

수원 25℃

안동 24℃

울릉도 24℃

독도 24℃

대전 27℃

전주 27℃

광주 27℃

목포 27℃

여수 28℃

대구 25℃

울산 23℃

창원 27℃

부산 25℃

제주 29℃

작년 공공부채 1000조 돌파···2년새 105조 불어

작년 공공부채 1000조 돌파···2년새 105조 불어

등록 2016.12.23 11:35

현상철

  기자

공유

공공부문 부채 전년대비 46.2조원↑GDP 대비 0.1%p 감소한 64.4%일반정부 부채 2년새 110.6조 증가

표 = 기재부 제공표 = 기재부 제공

지난해 정부와 비금융공기업이 갚아야 할 부채가 1000조원을 넘어섰다. 박근혜정부 첫 해인 2013년과 비교해 105조원 불었다.

23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공공부문 부채는 1003조5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일반정부 부채는 676조2000억원, 비금융공기업 부채는 398조9000억원이다.

정부와 비금융공기업 부채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비중은 각각 43.4%, 25.6%이고, 공공부문 부채는 GDP 대비 64.4%다.

일반정부 부채는 전년보다 55조6000억원 불어 GDP 대비 1.6%포인트 증가했다. 기재부는 일반회계 적자보전 및 외환시장 안정을 위한 국고채 증가(48조6000억원)에 기인한다고 설명했다.

반면, 비금융공기업 부채는 9조6000억원 줄어 1.9%포인트 감소했다. 공공부문 개혁으로 인한 재무실적 개선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공공부문 부채는 2013년 898조7000억원에서 2014년 957조3000억원으로 늘어났다. 박근혜정부가 들어서면서 2년 만에 104조8000억원이 불어난 셈이다. 다만, 같은 기간 증감률은 9.5%에서 6.5%, 지난해 4.8%로 둔화되고 있다.

일반정부 부채는 2013년 565조6000억원에서 2014년 620조6000억원, 지난해 676조2000억원으로 2년 동안 110조6000억원 급증했다.

기재부는 “국제적으로 우리나라의 부채수준과 재정건전성은 상당히 양호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며 “IMF, OECD 등 국제기구와 S&P 등 주요 신평사도 양호한 재정상황을 높이 평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국가채무의 경우 엄격한 재정총량 관리, 세입기반 확충, 지속적인 재정개혁 등으로 2020년까지 40%대 초반 수준으로 관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뉴스웨이 현상철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