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 13일 이억원 금융위원장 임명내부 직원 달래기 동시에 연말까지 조직 분리초대 금감위원장 예정···15일엔 금융지주 회장 면담
이재명 대통령은 이날 이억원 금융위원장을 임명했다고 밝혔다. 앞서 대통령실은 지난 10일 이 위원장에 대한 국회 인사청문 경과 보고서를 재요청했으며 재송부 기한 내에 청문보고서가 채택되지 않자 임명을 강행한 것이다.
행정안전부가 지난 7일 발표한 '정부조직개편방안'에 따르면 내년부터 금융위의 국내금융 기능은 재정경제부로 이관된다. 금융감독 기능은 금융감독위원회로 개편되며 산하에는 증권선물위원회와 금융소비자보호위원회가 설치된다.
금융감독원 내부 조직인 금융소비자보호처는 '금융소비자보호원'으로 분리·신설되고, 금감원과 함께 공공기관 지정을 추진할 방침이다. 이에 따라 기존 금융위와 금감원 두 곳이었던 금융당국은 재경부, 금감위, 금감원, 금소원 등 네 곳으로 나뉘게 된다. 금감원과 금소원도 금감위 산하로 지도·감독을 받게 될 예정이다.
이 위원장은 마지막 금융위원장으로 금융위에서 조직개편을 마무리 짓고 초대 금융감독위원장으로 자리를 이동하게 된다.
다만 최종 개편까지는 진통이 예상된다. 내년 1월 조직개편 방안이 시행되면 금융위 소속 공무원 가운데 20~50명을 제외한 인원은 소속 부처 변경으로 정부세종청사로 자리를 옮겨야 하기 때문이다. 조직 해체로 기존 금융에 대한 전문성이나 승진 등에 영향을 우려하는 내부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산하 기관인 금감원은 연일 직원들이 시위를 열고 반대 목소리를 내고 있다. 금감원 노조는 지난 9일부터 12일까지 나흘째 매일 아침 직원들이 금감원 본원 로비에서 조직개편에 반대하는 시위를 진행 중이다. 노조 측은 사태가 해결되지 않을 경우 다음 주 중 국회 앞 집회도 추진할 방침이다. 노조는 이날 이찬진 금감원장, 황선오 기획·전략 부원장보와 면담도 진행했다.
금감원 노조는 금융위와의 갈등도 예고한 상태다. 윤태완 금감원 노조 비상대책위원장은 지난 11일 집회에서 "금융위가 제재심의위원회와 분쟁조정위원회를 가져가겠다고 한다"면서 "금융위의 조직확대를 중단하라"고 밝혔다. 이는 제재심과 분조위 기능이 향후 금감위로 넘어갈 경우 금감원 권한이 대폭 축소될 것이라는 우려 때문이다.
이 위원장은 조직 안정 외에도 이재명 정부의 목표인 '생산적 금융 전환'과 '코스피 5000 달성' 등 금융정책 추진에도 힘써야 한다. 앞서 이 위원장은 인사청문회에서 ▲생산적 영역으로의 자금 공급 확대 ▲공정하고 활력 있는 자본시장 ▲취약계층의 채무부담 완화 및 금융 접근성 확대 ▲금융소비자 보호 체계 강화 ▲금융시장 안정 확보 등 5가지 정책 추진 방향을 소개했다.
한편 이 위원장은 15일 첫 출근 후 오후 은행연합회에서 KB·신한·하나·우리·NH농협 등 5대 금융지주 회장과 상견례를 진행할 예정이다. 이 위원장은 이 자리에서 생산적 금융 전환과 더불어 포용금융 확대 등을 요청할 것으로 보인다.
한 금융권 관계자는 "이 위원장이 조직개편 직후 임명돼 조직을 안정시키면서 동시에 두 조직으로 분리해야 하는 임무를 맡게 됐다"면서 "쌓인 금융 현안들을 처리하며 내부 직원 달래기도 진행해야 하는 만큼 취임 초기부터 리더십이 시험대에 오른 상황"이라고 말했다.

뉴스웨이 이지숙 기자
jisuk618@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