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 원화마켓 거래소 대비 정보 공시 뒤처져토큰 발행량·분배율 등 핵심 정보 공개 안돼자율규제안 대응 미숙에 투자손실 위험 커져
21일 뉴스웨이 취재에 따르면 고팍스는 자사 홈페이지에서 백서 제공조차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 이른바 '김치코인'이 다수 상장돼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백서는 가상자산 프로젝트의 ▲기술적 배경 ▲목적 ▲로드맵 ▲개발 인력 등을 담은 필수 문서로, 투자자들이 해당 자산의 가치를 판단하는 핵심 자료다.
하지만 고팍스에서 상장된 일부 프로젝트의 경우 백서를 찾기 어렵거나 새로 업데이트가 되지 않았다. 고팍스도 자체적인 공시 체계를 도입해왔는데, 이 부분에 대한 관리가 미흡해진 탓이다.
일부 프로젝트의 토큰 발행량과 분배율에 관한 정보조차 공개되지 않고 있다. DAXA는 자율규제안에서 발행량과 분배율 미공개를 '가상자산 구조의 내재적 위험'으로 평가하고 있다.
소수가 대량의 토큰을 보유할 경우 시세조종 가능성이 높아지고, 갑작스러운 물량 출회로 투자자들이 큰 손실을 입을 수 있기 때문이다.
또 DAXA의 거래지원 모범사례에서는 가상자산의 총 발행량, 유통량 계획 변경 내역 및 정도 등을 중요한 공시 항목으로 규정하고 있다. 가상자산 투자가 활성화되면서 발행량과 유통량 이슈는 가장 중요한 지표로 평가된다.
이 밖에도 DAXA가 제시한 거래소 윤리강령에는 '회사와 임직원은 항상 고객의 입장에서 생각하고 고객에게 보다 나은 가상자산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여야 한다'고 명시돼 있는데, 정작 이러한 공시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고 있다.
다른 원화마켓 거래소들이 DAXA 가이드라인에 따라 상장 심사를 강화하고 공시 체계를 정비하는 동안 고팍스는 기본적인 정보 제공조차 소홀히 하고 있는 것이다.
국내 주요 거래소들이 참여한 DAXA 회원사 중에서도 고팍스의 공시 수준은 미흡한 것으로 평가받는다. 업비트, 빗썸, 코인원 등 다른 주요 거래소들은 백서 제공은 물론 토큰 이코노미, 개발팀 정보, 감사 보고서 등을 상세히 공개하고 있는 상황이다.
문제는 DAXA의 자율규제안이 법적 구속력을 갖지 않는다는 점이다. 거래소가 자체 판단으로 가이드라인을 무시하고 코인을 상장하더라도 제재할 방법이 없다. 결국 투자자 보호라는 자율규제의 취지와는 정반대로, 불완전한 정보에 기반한 투자 결정을 내릴 수밖에 없다.
한 거래소 업계 관계자는 "자율규제는 업계 스스로 투자자 보호에 나서겠다는 약속인데, 일부 거래소가 이를 무시하면 전체 시장 신뢰도가 떨어질 수밖에 없다"며 "법적 규제가 미비한 상황에서 자율규제마저 지켜지지 않는다면 투자자들은 더욱 큰 위험에 노출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관련태그

뉴스웨이 한종욱 기자
onebell@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