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13일 월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증권 안도걸 의원 "원화 스테이블코인, 금융혁신 출발점···제도화 서둘러야"

증권 블록체인

안도걸 의원 "원화 스테이블코인, 금융혁신 출발점···제도화 서둘러야"

등록 2025.10.13 16:01

한종욱

  기자

공유

국내외 정책 동향과 경제적 효과 심층 분석기업·소비자 편익부터 리스크 대응 방안까지

안도걸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 사진=안도걸 의원실 제공안도걸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 사진=안도걸 의원실 제공

안도걸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이 원화 스테이블코인과 관련된 주요 쟁점을 총정리한 '한눈에 보는 원화 스테이블코인 Q&A 20선'을 발간했다고 13일 밝혔다.

이번 Q&A는 원화 스테이블코인의 ▲도입 필요성 ▲경제적 효과 ▲관련 리스크 ▲대응방안을 중심으로 구성해 체계적으로 이를 정리했다.

첫 번째 장에서는 스테이블코인의 개념과 함께, 지급결제 수단으로서의 장점을 설명했다. 이어서 글로벌 주요국의 정책 경쟁 상황을 살피며, 원화 스테이블코인의 신속한 도입 필요성을 강조했다.

두 번째 장에서는 원화 스테이블코인이 소비자·글로벌 기업·중소기업·자영업자 등 다양한 경제주체에 가져올 수 있는 편익을 제시했다.

안 의원은 "이미 글로벌 기업과 금융기관 중 스테이블코인을 사용하는 기관의 41%가 B2B 국경 간 지급에서 10% 이상 비용 절감을 경험했다"며 "중소기업은 스테이블코인을 활용함으로써 결제 비용을 절감해 기업운영의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원화 스테이블코인이 도입되더라도 단기간에 통화정책에 심각한 영향을 줄 수 있는 규모로 발행될 가능성은 낮다"며 "원화 스테이블코인의 보유에 대한 이자 지급을 금지하면 스테이블코인이 예금을 대체하는 현상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다"고 했다.

이 밖에도 외국인 관광지출·외국인 근로자 송금·K-콘텐츠 결제 등 원화 스테이블코인이 우선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분야를 소개했다.

마지막 장에서는 원화 스테이블코인 도입 과정에서 우려되는 통화·금융·외환 리스크를 짚고, 이를 예방하기 위한 제도적 장치를 체계적으로 정리했다.

은행을 중심으로 한 발행 기조에 대해 "미국, 일본, 유럽, 홍콩 등 주요국은 은행만 스테이블코인의 발행인으로 제한하지 않는다"며 핀테크 등 비은행 기관은 은행보다 폭넓은 플랫폼을 보유하고 있어 원화 스테이블코인 수요처 발굴 및 혁신 서비스 창출에 유리하다"고 답했다.

또 "스테이블코인 발행인은 은행의 예금·대출·신용창출 기능이 없기 때문에 금산분리 원칙 적용이 부적합하다"며 "스테이블코인 발행인의 준비자산은 별도로 분리돼 보관 및 예치해야 하기 때문에 발행인이 자의적으로 사용할 수 없다"고 덧붙였다.

끝으로 "스테이블코인은 단순한 디지털자산이 아니라 미래 금융혁신의 핵심 기반이자 새로운 성장 동력"이라며 "논의가 빠르게 확산되는 만큼 체계적이고 정리된 기준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