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상장 리츠 선별적으로 담아
해당 펀드는 성장하는 국내 상장 리츠(K리츠) 시장에 중점적으로 투자하는 것으로 총자산의 50% 이상을 K리츠에 투자해 안정적 배당과 자산가치 상승에 따른 자본이익을 목표로 한다. 리츠는 배당가능이익의 90% 이상을 배당하는 동시에 기초자산인 부동산 가치 상승을 기대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아울러 시장 상황에 따라 K리츠 변동성에 대비해 인프라, 부동산 기업, 채권 등 다변화된 상품의 투자비중을 유연하게 조정하는 전략을 취한다. 대체투자 전반에 대한 포트폴리오 구축을 위해 국내 상장 인프라펀드 및 호텔, 골프장, 데이터센터 등 부동산 관련 상장기업 지분을 최대 30% 담는다. 또한 K리츠 고평가 국면에는 적극적인 차익 실현과 함께 단기 채권형 상품에 최대 40% 투자하며 변동성 축소에 나서는 전략이다.
이 펀드는 성장세인 K리츠에 선제적으로 투자하는 효과를 노린다. 정부가 국민의 노후 안정을 위한 부동산 간접투자 기회를 넓히기 위해 리츠 활성화에 나서면서 K리츠의 총 시가총액 규모는 2017년 900억 원 규모에서 지난해 약 7조 원 규모로 커졌다.
그러나 리츠 선진국과 비교하면 갈 길이 먼 상태다. 글로벌 리츠지수인 EPRA(유럽부동산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미국과 일본은 주식시장 대비 리츠 비중이 각각 3%대, 2%대로 큰 데 반해 한국은 0.3%대에 불과했다. 미국 수준으로 K리츠 시장 비중이 커진다면 약 70조 원 규모로 성장할 수 있는 셈이다.
무엇보다 해당 펀드를 운용하는 이지스자산운용 대체증권투자파트는 리츠에 대한 풍부한 투자 노하우와 리서치 역량을 가진 전문운용인력들로 구성돼 있다. 이들은 2018년부터 사모 형태 리츠 펀드를 장기간 운용하며 트랙레코드를 쌓았고, 2020년 글로벌 리츠에 투자하는 첫 공모펀드를 출시한 바 있다. 현재 약정금액 기준 7000억 원 규모 이상의 자금을 운용하며 국내외 리츠에 투자하고 있다.
이지스자산운용 대체증권투자파트는 "K리츠 시장은 법인세 면제 및 배당소득 저율 분리과세 등 정부의 활성화 정책에 따라 양적, 질적 성장이 동시에 나타나고 있다"며 "성장 초기 단계에 있는 K리츠 주가는 기초자산의 가치 대비 저평가 영역에 머물고 있어 시장을 선점할 수 있는 중요한 투자 시점"이라고 말했다.
관련태그

뉴스웨이 임주희 기자
ljh@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