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GS그룹 오너가 ‘맏이’ 삼양통상 가문, 차기 왕좌 포기?

GS그룹 오너가 ‘맏이’ 삼양통상 가문, 차기 왕좌 포기?

등록 2021.05.13 13:37

이세정

  기자

공유

허남각 회장과 개인社 삼양통상, ㈜GS 주식 처분2019년 첫 매입, 타 가문 견제·4세 승계 대비 목적지분축소 배경엔 그룹 경영권 사실상 단념했단 해석‘4세’ 허준홍 등 주식 매입, 단순 집단소유 목적인듯

사진=GS 제공사진=GS 제공

GS그룹 장손인 허남각 삼양통상 회장 가문이 사실상 차기 후계자 경쟁에서 멀어졌다는 분석이 나온다. 허 회장 본인은 물론, 개인회사 삼양통상이 보유하던 그룹 지주사 ㈜GS 주식을 일부 처분하면서 지분 우위를 내려놨다는 시각이다.

13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삼양통상은 지난달 30일과 이달 4일 두 차례에 걸쳐 ㈜GS 주식 10만주를 장내매도했다. 이에 따라 삼양통상의 ㈜GS 지분율은 종전 0.53%에서 0.42%로 0.11%포인트 하락했다.

앞서 허 회장도 지난달 15일 개인적으로 들고 있는 ㈜GS 주식 206만여주 중 10만주를 처분했다. 지분율은 2.17%에서 2.07%로 축소됐다.

삼양통상은 고(故) 허만정 GS그룹 창업주 장남인 고 허정구 명예회장이 설립한 피혁가공 및 판매 업체다. GS그룹이 2005년 LG그룹과 결별하면서 GS기업집단 소속이 됐다.

지난해 말 기준 허 회장 장남인 허준홍 삼양통상 사장이 지분율 22.07%로 최대주주에 올라있다. 2대 주주는 20.00%의 허 회장이다.

허정구 가문 일원이자 허 회장 동생인 허동수 GS칼텍스 명예회장이 6.00%, 막냇동생인 허광수 삼양인터내셔널 회장이 3.15%씩 보유 중이다. 또 허동수 명예회장 아들들인 허세홍 GS칼텍스 사장과 허자홍 H-Plus 대표는 각각 0.67%, 0.83%를, 허광수 회장 장남 허서홍 ㈜GS 전무는 1.67%를 들고 있다.

삼양통상이 ㈜GS 지분을 처음 취득한 것은 그리 오래되지 않은 2019년 5월이다. 삼양통상은 2년 전 장내매수로 ㈜GS 지분 0.21%를 확보했다.

당시 회사는 지분매입 이유에 대해 ‘단순 투자’라고 밝혔다. 하지만 가족회사를 동원해 그룹 지배력을 유지하는 동시에 타 가문을 견제하기 위한 의도가 깔려있다는 시각이 우세했다.

허창수 전 회장의 퇴진 시점이 다가오면서 4세 승계설이 확산되던 만큼, 지분 경쟁에 힘을 싣기 위한 목적도 있는 것으로 풀이됐다. 이 때 허 사장은 핵심 계열사인 GS칼텍스에서 윤활유사업본부장 부사장으로 근무하며 허세홍 사장, 허창수 전 회장 장남 허윤홍 GS건설 사장, 허서홍 전무 등과 함께 차기 회장 후보로 거론됐다.

삼양통상은 약 1년 뒤인 2020년 3월 추가로 30만주를 사들였고, 오너 개인회사 중에서는 가장 많은 지분을 갖추게 됐다.

허 사장은 지난해 초 돌연 사의를 표명했고, 부친 회사인 삼양통상으로 자리를 옮겼다. 사촌들과의 그룹 후계 경쟁에서 한 발 물러난 것처럼 보였지만, 허 사장은 지난해 말까지도 ㈜GS 주식을 추가로 매입하며 향후 복귀 여지를 남겨놓은 듯 보였다. 허 사장의 2008년생 아들은 5세 중 처음으로 ㈜GS 주식을 사들인 점도 이 같은 가능성을 높였다.

하지만 재계에서는 허 회장과 삼양통상의 지분 처분을 가문의 그룹 경영권 단념으로 해석하는 분위기다. 창업주 2남 고 허준구 가문 차남인 허정수 회장 개인회사 GS네오텍이나 창업주 5남 외아들 허용수 GS에너지 사장 가문회사인 승산은 ㈜GS 지분에 변동이 없다는 점과 대조된다.

삼양통상이 당장 주식을 처분할 만큼 자금난에 시달리지 않는다는 점도 사실상 자발적인 지분 경쟁 포기로 볼 수 있는 이유다. 삼양통상은 지난해 코로나19 사태에도 불구 매출은 3.3% 늘었고, 영업이익은 16.7% 증가했다. 동원 가능한 현금및현금성 자산과 단기금융상품도 1640억원에 달한다.

허 사장과 아들 허성준군의 지분 매입은 향후 승계를 염두에 둔 행보라기 보다는, 집단소유체제 전통에 따른 것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는 시각이다.

GS 사정에 밝은 한 관계자는 “오너들간 힘의 균형을 위해 특정 가문이 지주사 지분을 독식하지 못하도록 각 가문별로 보유할 수 있는 지분 상한선이 있는 것으로 안다”며 “허 회장과 삼양통상의 지분 매각은 같은 가문의 유력 후계자가 지분을 늘릴 수 있도록 한 전략일 수 있다”고 말했다.

뉴스웨이 이세정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