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견(偏見): DMZ를 떠도는 과거의 망령
거북이의 인생은 자신을 보호하는 알을 깰 때, 비로소 시작한다. 어미 거북이는 자신이 오래전에 태어난 해변으로 돌아와 뒷발로 모래를 파고 수 십 개의 알들을 낳는다. 다시 뒷발로 알을 덮고 매정하게 쩌벅쩌벅 다시 바라도 돌아가 버린다. 2달 후면, 알들이 꿈틀거리기 시작한다. 수 십 개의 알들이 어미가 흘린 점막과 모래가 섞어있다. 아무도 새기 거북이가 알에서 나오도록 도와주는 이는 없다. 새끼 거북이들은 온전히 자신의 힘으로 알을 깨고 나와야한다. 알은 새끼 거북이의 몸과 마음을 만든 기적의 공간이다. 그러나 새끼 거북이가 그 알에 안주하여 나오기를 거부한다면, 그는 이내 죽고 말 것이다. 자신에게 익숙한 것, 자신을 안주시키는 환경, 자신에게 편리를 제공해 주는 것은 쉽게 우리를 중독자로 만들어 고사하게 만들 것이다. 새끼 거북이는 ‘카벙클’이라는 임시치아를 가지고 있다. 카벙클은 오로지 자신을 안전하게 둘러 싼 알을 깨기 위한 도구다.
새끼 거북이가 임시치아로 자신의 보금자리를 깨야할 공간이 있다. 그것은 내부도 아니고 외부도 아닌 신비한 공간인 ‘경계經界’다. 경계는 이중적이다. 나의 한계限界를 확장할 유일한 장소이면서 동시에, 나의 월경越境이 허용되지 않는 금단禁斷의 공간이다. 인간 대부분은 그 경계 안쪽에서 안정되고 행복하다. 경계 안에서 자신이 경험한 세계를 ‘진리’라고 여기고, 그 진리를 자신의 삶을 위한 도덕의 기준 혹은 이념으로 숭배한다. 경계를 타부의 대상으로 회피하고 소외시키려는 사람들은, 일생동안 자신과 유사한 생각을 도모하는 사람들과 어울린다. 그들은 항상 똑같은 이야기를 반복하며 자화자찬한다. 우리가 나이 들면 들수록 인간이 완고해 지는 이유다. 다양한 경험과 교육인 인간을 유연하게 만들고 자유롭게 만든다. 그러나 자신의 경계를 담을 높게 세워, 타인의 삶을 이해하려고 노력하지도 않고, 경험해보지도 않는 사람은 언제나 무식無識할 수밖에 없다. 무식은 어떤 사실을 모르는 상태가 아니라, 새로운 정보를 수용하는데 더디거나 인색한 상태다.
경계로 진입하여, 감히 다름을 경험하려는 사람들이 있었다. ‘경계를 넘나드는 사람들’이란 의미를 지닌 단어를 자신들의 정체성으로 만들었다. 바로 ‘히브리인’들이다. ‘히브리인’들은 민족적인, 인종적인 용어가 아니라, 사회학적인 용어다. ‘히브리’Hebrew라는 단어는 ‘국경을 넘어가다’라는 의미를 지닌 히브리어 동사 ‘아바르’abar에서 파생된 명사로, ‘국경은 넘나드는 (자유로운) 사람’이란 의미다. 그들은 ‘도시’라는 질서로 진입하지 못해, 도시를 둘러싼 성벽이나 경계를 월경하여 새로운 보금자리를 찾는 사람들이었다. 인류가 물질적인 공간이 도시(都巿를 구축하고, 서로 다른 이념을 지닌 시민들을 하나로 묶기 위해 동일한 문자文字를 창제하여 소통하였다. 문명은 도시와 문자가 낳은 자식이다. 서양문명의 한 기둥인 헬레니즘이 ‘도시문명’이라면, 또 다른 기둥인 헤브라이즘은 ‘월경문명’이다. 월경문명은 언제, 어디서나 자신이 열망하는 장소로 이동한다. 자신이 소중하게 생각했던 집, 친척, 고향을 떠나 새로운 정체성을 획득하기 위해 타부의 공간을 넘어간다.
현대문명의 특징은 경계가 가져다는 주는 불안, 모호, 빔, 그리고 무정형이다. 현대문명은 우주탄생의 원칙인 ‘질서’가 탄생하기 이전의 상태인 혼돈을 실험하고 있다. 독일 철학자 니체는 1886년 겨울에 완성한 <선과 악의 넘어선 저편: 미래철학의 서문>(Jenseits von Gut und Böse: Vorspiel einer Philosophie der Zukunft)에서 현대문명의 새로운 문법을 제시하였다. 그것은 오늘날에도 유효하다. ‘저편’이라고 번역된 독일어 원제목 엔자이츠Jenseits는 ‘저편’이라는 의미와 더불어 ‘사후세계’를 의미하기도 한다. 지난 2000년 동안 서양문명을 지배해온 이분법적인 구분을 넘어선 희망을 제시한다. 그는 플라톤의 서양철학과 그리스도교 사상의 기본구조인 이원론을 넘어선 새로운 지평을 모색한다. 이 새로운 지평이 경계이며, 경계의 특징은 ‘선과 악’을 넘어선 부정형不定形의 경계다.
그 경계는 신이 우주를 창조하기 이전의 상태인 ‘형태가 없고 비어있는’ 어떤 것이다. 니체는 이 책의 첫 번째 장을 ‘철학자들의 편견偏見에 관하여’로 시작한다. 그는 철학자들의 논거가 아니라, 철학자들의 주장하는 ‘진리’는 자신들이 처한 특수한 상황에 대한 ‘생리적인 구성’일 뿐이라고 진단한다. 그것들은 객관적일수가 없고, 더욱이 상대방의 시점에서 관조할 수 없다. 그 지식은 아무리 미사여구로 그럴듯하게 치장한다 할지라도 자신이 속한 공동체 혹은 자신이라는 객체의 이익을 대변할 수밖에 없다. 니체는 근대까지의 철학이나 종교에 깃들어 있는 이분구조에 스며들어 있는 ‘편견’을 지적하였다. 현대예술은 니체의 생각을 가장 잘 대변한다. 에드바르 뭉크, 달리, 고야, 피카소, 그 이후 추상표현주의 작가들은 비정형인 인간과 환경, 파편으로 망가진 인간을 적나라하게 보여주었다.
경계는 자신의 입장인 선과 타인의 입장이 악이 첨예화된 공간이다. 1950년대 TV를 통해 대중문화, 관광, 그리고 국제무역으로 우리는 점점 더 우리와 다른 문화를 경험하기 시작하였다. 자신의 생활방식과 이념이 옳다고 착각하는 사람들의 만남이 잦아지면서, 그 경계에서 분쟁이 터지고 편견이 오히려 강화하였다. 하버드대 심리학자 고돈 알포트Gordon Allport는 <편견偏見의 본질>(1954년)이란 책에서 현대인들이 지닌 편견의 위험성을 다음과 같이 표현한다. “우리는 원자폭탄의 비밀을 알기 위해 오랜 시간의 노동과 엄청난 돈을 투자하였습니다. 인간의 비이성적인 본성의 비밀을 캐내기 위해 더 많은 노력과 돈이 들어갈 것입니다. 핵무기를 제거하는 것이 편견을 제거하는 것보다 쉽습니다.”
알포트는 ‘편견’을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어떤 집단에 속한 사람에 대한 적대적인 태도다. 그 이유는 그가 그 집단에 속해 있고 집단에 부여된 거부할 만한 특징을 지니고 있다고 여기기 때문이다.” 우리는 상대방을 이해하는데, 시간을 벌기 위해 자신이 상상한 집단 안으로 쉽게 구분해 버린다. 우리는 사람을 개인으로 보지 않는다. 특히 미디어가 그것을 부추긴다. 대한민국은 편견으로 가득 차 있다. ’태극기부대, 좌파, TK, 광주, 보수, 진보, 자유주의자, 사회주의자, 자사고, 일반고···’ 이것들을 가만히 들여다보면, 일관된 철학이나 문법이 존재하지 않는 허상虛想들이다. 편견은 상대방을 알기 위해 필요한 시간과 노력을 제거하고, 그 대상을 섣부르게 판단하려는 유혹이다. 내 앞에 있는 사람을, 그 사람 자체로 볼 수 없고, 자신의 야속한 편견 안에서 그를 왜곡해 보려는 참을 수 없는 가벼움이다.
인간은 자신이 아닌 반대에서 생겨나는 존재가 아니다. 니체에 의하면, 최선의 가치를 지닌 것들은 전혀 다른 기원을 가지고 있다. 바로 ‘자기-자신’이다. ‘선과 악’을 넘어선 저편이라는 경계는 인간이 태어난 어머니의 자궁과 같아서 이쪽도 아니고 저쪽도 아닌 공간이다. 그것은 파괴될 수 없고 사라질 수 없는 자신이라는 숭고한 다름이다. 상이한 가치를 기반으로 구축된 철학과 종교는 사라질 것이다. 경계는 선과 악을 넘어선 ‘자기-자신’을 발견할 수 있는 최적의 공간이다. ‘자기 자신’을 발견하기 위해 먼저 해야 할 일이 있다. 그것은 경계의 공간에서 상대방의 다름을 관조하고 자신의 ‘편견’을 발견하고 고백하는 작업이다. 편견의 제거 없이, 진정한 대화는 불가능하다. 크게 기대는 하지 않지만, 트럼프와 김정은이 DMZ라는 이데올로기라는 과거의 망령이 춤을 추는 공간에서, ‘편견’이라는 자신의 무기를 해제하길 바란다. 나를 감싸는 이 안전한 보호막이 시간이 지나면 나의 편견이 되어, 나를 그 안에서 안주시키고 진부한 인간으로 만들 것이다. 어제의 나로부터 탈출하여 내일의 나로 변화하는 승화의 과정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조치는, 자신의 편견을 인식하고 제거하는 일이다!
<필자 소개>
고전문헌학자 배철현은 미국 하버드대학에서 셈족어와 인도-이란어를 공부하여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인류가 남긴 최선인 경전과 고전을 연구하며 다음과 같은 책을 썼다. <신의 위대한 질문>과 <인간의 위대한 질문>은 성서와 믿음에 대한 근본적인 문제를 다루었다. 성서는 인류의 찬란한 경전이자 고전으로, 공감과 연민을 찬양하고 있다. 종교는 교리를 믿느냐가 아니라, 타인의 아픔을 공감하고, 연민하려는 생활방식이다. <인간의 위대한 여정>은 빅히스토리 견지에서 '인간이란 무엇인가?'를 추적하였다. 이 책은 빅뱅에서 기원전 8500년, 농업의 발견 전까지를 다루었고, 인간생존의 핵심은 약육강식, 적자생존, 혹은 기술과학 혁명이 아니라 '이타심'이라고 정의했다. <심연>과 <수련>은 위대한 개인에 관한 책이다. 7년 전에 산과 강이 있는 시골로 이사하여 묵상, 조깅, 경전공부에 매진하고 있다. 블로그와 페북에 ‘매일묵상’ 글을 2019년 1월부터 매일 올리고 있다.
뉴스웨이 안민 기자
peteram@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