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1월 02일 일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국토부, 매매 6억·전세 3억 이상 중개수수료 하향 조정

국토부, 매매 6억·전세 3억 이상 중개수수료 하향 조정

등록 2014.09.01 09:35

서승범

  기자

공유

공인중개사협회와 의견 조율 중

국토교통부가 매매가 6억원 이상, 전세가 3억원 이상 등 고가 주택에 적용되는 부동산 중개수수료율을 좀더 싸게 조정하는 방향으로 수수료 체계를 개편하기로 했다.

국토부는 이러한 방안이 담긴 개선안을 마련 중이라고 1일 밝혔다.

국토부가 고가 주택에 대한 수수료율을 조정하기로 한 것은 이들 주택에서 현행 수수료 체계의 모순과 불합리가 가장 크게 나타나고 있다는 판단에서다.

현행 부동산 중개수수료는 2000년 마련된 이후 한 번도 바뀌지 않았다. 그러다 보니 그동안 큰 폭으로 상승한 주택 가격 변화를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특히 큰 문제는 고가 구간의 수수료율이다. 현행 수수료 체계는 매매가 6억원 이상은 0.9% 이하, 전세가 3억원 이상은 0.8% 이하에서 중개업자와 중개 의뢰인이 협의해 수수료를 정하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매맷값 6억원 미만 주택은 수수료율이 0.4%, 전셋값 3억원 미만은 0.3%여서 매맷값은 6억원, 전세가는 3억원을 넘기느냐, 그렇지 않느냐에 따라 수수료가 크게 달라지게 된다.

주택 매매와 임대차 거래 사이에 중개수수료 ‘역전 현상’이 나타나는 것도 이 구간이다. 전세가 3억∼6억원 사이 주택은 0.8%의 수수료율이 적용된다. 수수료율이 0.4%인 3억∼6억원짜리 주택을 매매할 때보다 수수료를 더 많이 물어야 하는 것이다.

또 전세난에 의해 사실상 갑에 입장에 있는 중개 의뢰인에게는 수수료를 할인해주고, 사정이 불리한 의뢰인에게는 최고요율을 받는 등 문제점이 생기고 있다.

6억원이 넘는 주택은 매매 거래 한 건만 성사시키면 중개업자가 대기업 근로자 월급보다 많은 돈의 보수를 챙길 수 있다는 점도 사회통념상 수용하기 어렵다.

6억원짜리 주택을 중개하면서 매도자와 매수자 양쪽으로부터 최고요율의 수수료를 받으면 1000만원의 수익을 올릴 수 있다.

이 같은 상황에 따라 국토부 측은 이 구간에 적용되는 수수료율을 낮추는 방안을 공인중개사협회 쪽에 제시했다.

공인중개사협회는 현재 한국부동산정책 학회에 연구 용역을 맡겨논 상태로, 용역 결과가 나오면 입장을 표명할 것으로 전해진다.

공인중개사협회 관계자는 “지금 특별히 말씀 드릴 수 있는 것은 없다”며 “의뢰한 용역 결과가 나오면 그때 입장을 표명할 것”이라고 말했다.

국토부는 연구용역, 공청회 등을 거쳐 이달 말까지 개선안을 마련한 뒤 12월 말까지 조례 등 관련 법령을 개정한다는 목표다. 이 경우 이르면 내년 초부터 개편된 중개수수료가 적용된다.

한편, 상가와 같은 주택 외 건물로 분류돼 최고 0.9%의 중개 수수료율이 적용되는 오피스텔에 대해서는 정부와 중개사협회 간 의견 접근을 이룬 상황인 것으로 전해진다.

계약서에 ‘주거용’이라고 표기만 하면 주택과 똑같이 낮은 요율을 적용하는 쪽으로 의견을 모았다.

서승범 기자 seo6100@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