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기 재선임도 제멋대로 지주사 직원은 비서취급 술값 계산까지 맡기기도
금융지주사를 퇴임한 임원 A씨는 당시 금융지주사 사외이사들을 이렇게 비꼬았다. A씨가 바라보는 현 사외이사들의 행태도 별반 다르지 않다. 그는 사외이사들을 ‘천상천하 유아독존’이라고 했다. A씨는 “사외이사들은 대부분 정치권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사람들로 채워지고 자신의 권력을 강화하기 위해 그룹 의사결정 시스템을 뒤흔드는 상황도 많았다”고 고백했다.
이뿐만이 아니다. 또 다른 지주사 간부인 B씨는 “사외이사들이 밤늦게 전화로 불러내 음식값을 계산하라고 했다”며 “사외이사들은 우리를 마치 자신들의 비서처럼 생각하는 것 같았다”고 말했다.
또 다른 간부인 C씨는 “사외이사가 몸담고 있는 대학의 연구비 지원을 요청하는 등의 경우도 있었다”며 “심지어 친한 동료교수의 연구비 지원도 부탁한 적도 있다”고 고백했다.
◇그들만의 잔치는 계속됐다
사외이사들의 ‘그들만의 잔치’는 해를 넘길수록 심각해지고 있는 실정이다. 사외이사들의 임기는 사외이사회에서 정하기 때문에 임기가 끝나도 재선임하면 그만이다. 최근 금융지주사 사외이사가 재선임을 마감했다는 점은 이를 잘 반영하고 있다.
사외이사들의 경영 개입도 심각해지고 있는 상황이다. B씨는 “사외이사들이 자신에게 반감을 갖고 있는 한 계열사 임원을 신임대표로 임명한다는 소식에 강하게 거부 의사를 나타낸 경우도 있었다”고 밝혔다. 또 “지주 계열사 등에 자신의 친인척의 취직을 부탁하는 경우도 적지 않다”고 말했다.
◇고액 연봉에 보너스까지 챙겨
금융감독원 공시를 조회한 결과 금융지주사 사외이사들의 평균 연봉은 5000만~6000만원 수준으로 나타났다. 사외이사 대부분이 겸직을 하고 있다는 점에서 이들의 임금은 고액이라는 논란에서 자유롭지 못하다는 지적이다.
A금융지주사는 지주사들 가운데 연봉이 가장 많지만 성과급 형태로 지급하는 보너스도 챙겼다. 이사 1인당 1억원에 육박하는 금액이었다. 이런 보너스는 금액 차이만 있을 뿐 다른 금융지주사 사외이사들도 마찬가지였다. 최저 2000만~6000만원까지 이른바 월급쟁이들로서는 꿈도 꾸지 못하는 연봉에 두둑한 보너스까지 덤으로 챙겨갔다.
반면 고액 연봉에 반해 이사회 활동량은 심각한 수준이다. 지주사별로 종합해본 결과 정기이사회와 임시이사회는 1년 동안 50차례 미만이었다. 한달 평균 3, 4차례 수준이었다. 심지어 한 달에 1차례밖에 모이지 않은 금융지주사 사외이사들도 있었다.
◇감시자 전횡 견제할 장치 필요
사외이사는 전문지식을 바탕으로 경영 전반에 조언하는 비상근직이지만 사실 대주주의 전횡을 방지하려는 목적이 크다. 대학교수나 변호사, 공인회계사, 언론인, 퇴직관료 등이 사외이사를 맡는다. 사외이사들은 매 분기마다 이사회를 열고 기업 경영활동을 감시하는 역할을 한다.
문제는 자신들이 임기를 정해버리거나 재임용을 해버리는 등 사외이사의 전횡을 견제할 장치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C씨는 “사외이사들이 정치적인 성향이 강하거나 회장의 측근들로 구성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사실상 이들이 회장과 비슷한 권한을 가지고 있다고 봐도 무방하다”며 “이들의 행태가 해를 넘길수록 심각해지고 있어 이들을 견제할 정치가 절실하다”고 밝혔다.
현재 우리나라의 사외이사제도는 금융선진국인 미국·영국·일본 등과 유사하다. 이 때문에 우리 시각에 맞는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A씨는 “이들에게 실린 막강한 권한을 제어하기 위해서는 재선임을 제약하거나 독일처럼 근로자 대표를 감사로 선임하는 등의 장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최재영 기자 sometimes@
뉴스웨이 최재영 기자
sometimes@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