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엔 고객 위약금 면제·보상안 질의···"전면 검토" LGU+, 불거진 해킹 의혹···"KISA 측에 신고할 것"SKT 사태 악용한 영업 행위도 지적···"즉각 시정"
특히 무단 소액결제 사건으로 고객들의 금전적 피해가 발생한 KT에 날선 비판이 쏟아졌다. 한민수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김 대표를 비롯해 KT 관계자들을 지난번 국회에 불렀을 때는 '괜한 지적을 하는 것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들었다"며 "하지만 지난 17일 KT에서 발표한 피해 발표 결과를 보면서 어떻게든 축소하려고 하고 무능한 KT를 지적할 수밖에 없다"고 했다.
김영섭 KT 대표는 은폐·피해 축소 의혹에 대해 전면 부인하며, 추가 피해는 없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 대표는 "가지고 있는 모든 데이터를 확인했기 때문에 데이터 내에선 더 특별히 나올 게 없을 것 같다"며 "다만 작년 8월1일 이후 데이터만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그 전으로 거슬러 올라가진 못 했다"고 말했다.
KT는 피해 규모 1차 브리핑에서 소액결제 피해자는 278명, 개인정보 유출 피해는 없다고 발표했으나, 전수 조사를 마친 후 지난 17일 3차 브리핑에서는 소액결제 피해자와 개인정보 유출 피해자는 각각 368명, 2만2227명으로 확인됐다고 발표했다. 불법 기지국(펨토셀) ID는 최초 2개에서 20개로 크게 늘었다.
해킹 관련 고지가 불충분했다는 점도 조명됐다. 노종면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SK텔레콤은 유심 해킹 사고 당시 사고 발생 사흘 만에 전체 고객에게 문자로 관련 사실을 공지했지만, KT는 무단 소액결제 피해를 본 고객에게만 고지됐다고 지적했다. 이에 김 대표는 "충분히 고지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전체 고객을 대상으로 위약금 면제도 검토 중이다. 김 대표는 "조사 결과와 피해 내용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판단하겠다"고 말했다.
피해 배상·고객 보상안에 대한 질의에 대해서는 "개인정보가 나간 고객들에 대해서는 이미 금전적 피해를 100% 보상하고 있으며, 나머지 유심 교체나 단말기 교체 지원, 보험 가입 등 추가 보상을 적극 검토하고 있다"고 했다.
지난 7월부터 해킹 의혹을 받고 있는 LG유플러스를 향한 질의도 있었다. 박충권 국민의힘 의원이 이날 국회 과학기술방송통신위원회 국정감사에서 "LG유플러스는 해킹에 안전하다고 자신있게 말할 수 있느냐"고 묻자 홍범식 LG유플러스 사장은 "보안에 최선을 다하고 있지만, 가입자들이 100% 안전하다고는 말하지 못 하겠다"고 답했다.
침해 의혹과 관련해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에 신고를 하겠냐는 복수 의원의 질의에 홍 대표는 "신고하겠다"고 말했다.
지난 4월 발생한 SK텔레콤 유심(USIM) 해킹 사태 당시 KT·LG유플러스의 공포 마케팅도 비판의 도마 위에 올랐다. 최민희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KT 보수 차량을 보면 아직도 SK텔레콤 사고와 관련한 마케팅을 진행 중인데, 왜 이렇게까지 하느냐"는 지적에 김 대표는 "즉각 시정하겠다"고 했다.
SK텔레콤 해킹 사태에 KT와 LG유플러스 일부 대리점에서 이 같은 마케팅을 전개해 논란의 중심에 섰다. 양사는 이러한 영업 행위를 막고자 노력했지만, 완벽하게 차단하지는 못했다.
앞선 해킹 사고로 여러 차례 질의를 받아 온 SK텔레콤에는 상대적으로 가벼운 질문이 이어졌다. 박충권 의원은 유영상 SK텔레콤 사장에게 "통신 3사가 전부 털렸는데 먼저 자진 신고해 제일 많이 두들겨 맞았다"며 "다른 회사는 왜 안 했다고 생각하는가"라고 물었고, 유 사장은 "내부 사정이라 잘 모른다"고 답했다.

뉴스웨이 강준혁 기자
junhuk210@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