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아연 '사상 최대' 매출···별도기준 영풍 14배수익성에서도 희비···영풍 3년 연속 적자의 늪"영풍, 적대적 M&A 집중···수익성 개선 등한시"
22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에 따르면 고려아연은 올 1분기 연결기준 매출이 3조8328억원으로 전년(2조3754억원) 대비 61.4% 늘었다. 이는 사상 최대 분기 매출로, 영풍의 1분기 매출 5718억원의 7배에 달하는 규모다. 별도기준 매출은 고려아연이 2조3886억원으로 1714억원에 그친 영풍 실적의 14배를 달성했다.
수익성에서도 고려아연은 1분기 연결기준 영업이익 2711억원을 기록했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1845억원) 보다 46.9% 증가한 금액이다. 1분기 기준으로는 역대 두번째로 높은 영업이익을 냈다. 별도기준 영업이익 또한 1907억원에서 2727억원으로 43% 급증했다.
반면 영풍은 3년 연속 영업적자를 냈다. 1분기 연결기준 영업손실은 563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적자 규모가 131억원 커졌다. 별도기준 영업손실도 506억원으로 전년 대비 5배 불었다.
업계에서는 고려아연과 영풍의 실적 희비가 엇갈린 배경으로 다양한 요소를 꼽는다.
먼저 시장환경 변화에 대한 선제적인 대응 능력이다. 고려아연의 경우 특정품목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사업 포트폴리오를 다각화하고 각 부문별 기술 역량 강화에 투자를 집중했다. 최윤범 고려아연 회장 등 경영진의 경영판단이 주효했다는 평가다.
반면 영풍은 경영진의 역량 부족과 오너 중심의 책임 경영, 선제적 투자 등 체질개선 노력이 부족했다는 비판이 나온다. 여기에 최근에는 고려아연에 대한 적대적 M&A에 집중하며 주력사업에 소홀했다는 지적도 나온다.
기술에 대한 투자와 관심 등 기술력의 차이도 한 몫했다는 평가다. 나아가 제련기업의 오랜 숙제인 환경 리스크에 대한 대응도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다.
고려아연은 세계 유일의 '아연·연·동 통합공정'을 운영하는 덕분에 아연과 연정광에 포함된 극소량의 희소금속 12종을 추출하는 능력을 갖췄다. 올해 희소금속 회수율을 품목별로 20~30% 높이는 노력과 기술 혁신, 중국의 수출통제에 따른 세계시장의 가격 급등세가 함께 작용하며 수익성이 대폭 신장된 것으로 알려졌다.
실제 방산 핵심소재로 쓰이는 안티모니, 반도체 기판과 디스플레이에 활용되는 인듐 등 전략광물의 1분기 판매 실적이 900억원으로 전년(290억원) 대비 3배 이상 급증했다. 고려아연의 별도 매출총이익의 20%를 전략광물이 기여할 만큼 호실적의 원동력으로 자리매김했다.
금·은 등 귀금속 매출도 가격 상승세와 맞물려 한층 확대됐다. 고려아연의 금 부문 매출은 지난해 1분기 1548억원에서 올해 3581억원으로 2배 넘게 불었다. 같은 기간 은 역시 5014억원에서 7471억원으로 49% 급증했다.
영풍은 아연괴 실적이 제련부문 매출의 84%를 차지할 만큼 생산품목이 과도히 편중됐다. 이는 제련수수료(TC) 급락, 아연 가격 약세 등으로 인한 실적 하방 압력을 상쇄하지 못한 요인이라는 지적이다.
여기에 물환경보전법 위반으로 올 2월부터 4월까지 58일간 석포제련소 조업정지 행정처분을 받은 점도 악재로 작용했다.
2000년대 들어 신성장동력 육성 차원에서 반도체·전자 부품 제조사들을 잇달아 인수했지만 이마저도 성적표가 신통찮다.
영풍 오너일가 2세인 장세준 부회장이 경영하는 코리아써키트의 경우 올 1분기 연결매출 3546억원, 영업적자 17억원, 분기순손실 22억원을 기록했다. 시그네틱스, 영풍전자 등의 계열사도 순손실을 겪고 있다.
업계 한 관계자는 "두 기업의 실적이 엇갈리며 영풍이 고려아연에 대한 적대적 M&A를 추진하는 과정에서 내세운 '기업가치 제고'란 명분이 크게 퇴색하고 있다"고 말했다.

뉴스웨이 신지훈 기자
gamja@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