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5월 29일 목요일

  • 서울 25℃

  • 인천 24℃

  • 백령 21℃

  • 춘천 27℃

  • 강릉 17℃

  • 청주 25℃

  • 수원 24℃

  • 안동 23℃

  • 울릉도 15℃

  • 독도 15℃

  • 대전 25℃

  • 전주 22℃

  • 광주 27℃

  • 목포 24℃

  • 여수 23℃

  • 대구 24℃

  • 울산 19℃

  • 창원 22℃

  • 부산 20℃

  • 제주 23℃

유통·바이오 대형마트서 동네 상점·식당까지···필리핀 일상 속 진로

유통·바이오 식음료 현장

대형마트서 동네 상점·식당까지···필리핀 일상 속 진로

등록 2025.05.28 09:00

마닐라=

김제영

  기자

공유

대형마트-소규모 상점·외식업체로 재판매 가능일반 소주, 과일 소주보다 현지인 판매 비중 증가서민층부터 고소득층까지 단계별 유통 채널 입점

퓨어골드 파라냐케점 냉장 칸에 소주가 놓여있다. 사진=김제영 기자퓨어골드 파라냐케점 냉장 칸에 소주가 놓여있다. 사진=김제영 기자

필리핀 마닐라의 대형마트, 요구르트가 놓인 냉장 칸에 틈새로 생소한 초록 병의 소주가 나란히 놓여있다. 병뚜껑 위로 둘러진 노란 띠지는 세금을 납부한 수입주류에 붙는 납세필증이다. 소주가 요구르트와 함께 놓인 건 두 제품이 같이 팔리는 수요가 적지 않아서라고 한다.

지난 18일 필리핀 마닐라에 위치한 퓨어골드(Pure Gold) 파라냐케점을 방문해 필리핀 현지에 입점한 소주 제품의 현황을 살펴봤다. 퓨어골드는 필리핀 3대 소매 채널 중 하나로, 창고형 할인점 280여개와 슈퍼마켓 100여개를 운영하고 있다. 주요 소비자는 일반 서민 계층이다.

주류업계에서 마트와 같은 유통 채널은 '가정용 시장'이라고 한다. 필리핀의 가정용 시장에서 특이한 점은 한국과 달리 마트에서 구매한 주류를 재판매할 수 있다는 점이다. 퓨어골드와 같은 마트에서 구매한 술은 소규모 동네 상점에서 약간의 마진을 붙여 소비자에게 재판매가 가능하다. 즉 큰 가정용 시장에서 작은 가정용 시장으로 단계별로 주류 유통이 되는 구조다.

소비자가 장바구니에 담은 진로 소주. 사진=김제영 기자소비자가 장바구니에 담은 진로 소주. 사진=김제영 기자

퓨어골드 매장에서 참이슬 후레쉬 가격은 병당 106페소, 한국 돈으로 약 2650원 정도 된다. 과일 소주인 에이슬 시리즈는 약 2500원(100페소)이다. 한국과 비교하면 1000원 안팎으로 비싼 값이지만, 필리핀 현지인의 인식 속 진로 가격은 '충분히 지불할 가치가 있다'고 한다.

매장에서 참이슬을 구매한 안드레아(21)는 "필리핀 술보다 소주가 더 부드럽다는 느낌을 받는다. 최저임금을 받더라도 비싸다고 생각하지 않는다"며 "한국 드라마에서 소주를 마시는 모습을 보고 소주를 마시게 됐다. 일주일에 두 번 정도, 가족과 함께 즐긴다"고 말했다.

지역별로 상이하나 필리핀의 최저임금이 일 1만7000원 안팎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실제 소주 값은 결코 저렴하지 않다. 그럼에도 필리핀 현지에서 소주에 대한 인식은 호의적인 모습이다.

통상 동남아 국가는 과일 소주의 판매 비중이 압도적인 시장이다. 동남아 시장에서 한국보다 더 많은 종류의 과일 소주를 찾아볼 수 있는 배경도 이 같은 맥락에서다. 그러나 필리핀에선 최근 몇 년 사이 일반 소주에 대한 수요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대형마트와 현지 유통사가 체감하는 소주의 판매 비중은 과일 소주와 일반 소주가 각각 6대4 수준이다.

퓨어골드 진로 제품 진열 사진. 사진=김제영 기자퓨어골드 진로 제품 진열 사진. 사진=김제영 기자

최근 필리핀 현지에서는 소주에 요구르트와 같은 음료를 섞어 마시는 문화가 확산되고 있다. 섞어 마시는 문화가 익숙한 만큼 소주와 맥주를 섞는 '소맥'도 소주의 활용도를 한층 높였다.

마리 퓨어골드 MD(42)는 "초기 과일 소주로 현지인들이 입문했고, 일반 소주는 교민 중심으로 소비됐다. 그러나 최근에는 현지인이 일반 소주를 소비하는 비중이 늘어 전체 시장에서도 일반 소주 비중이 상승하고 있다"며 "여성 소비자는 일반 소주를 요구르트와 같은 음료에 섞어 마시는 경우가 많고, 남성 소비자는 그대로 마시는 경우가 많다"고 설명했다.

김수환 하이트진로 필리핀법인 팀장은 "매장 기준으로 과일 소주의 판매 비중이 더 높다. 일반 소주는 주로 외식업장(레스토랑)에서 판매된다. 최근에는 마트에서 일반 소주를 구입해 집에서 마시는 비율도 증가하고 있다"며 "필리핀 전체 시장에서는 일반 소주가 약 65%, 과일 소주가 35%, 마트 구매 기준으로는 과일소주가 50~60% 정도로 우세한 편"이라고 말했다.

가정용 시장에서 진로가 성장한 배경 중 하나로는 '접근성'이 꼽힌다. 역설적이게도 하이트진로는 코로나 당시 비대면 마케팅과 가정용 시장을 공략한 결과 이전보다 더 높은 성장률을 기록했다. 하이트진로는 현재 가정용 시장과 유흥용 시장 비중을 71대29로 추정하고 있다.

S&R에서 소비자가 진로(JINRO) 제품을 구매하고 있다. 사진=김제영 기자S&R에서 소비자가 진로(JINRO) 제품을 구매하고 있다. 사진=김제영 기자

퓨어골드 외에도 진로 소주는 여러 유통 채널에 입점해있다. 일반 소비자 직구매와 소규모 자영업자를 대상으로 하는 퓨어골드부터 중상층과 관광객 방문이 잦은 SM그룹의 쇼핑몰인 몰 오브 아시아 내 SM마트, 고소득층이 쇼핑하는 회원제 창고형 할인점 S&R에서도 진로를 찾아볼 수 있었다. 필리핀 현지에서 소득 수준과 상관없이 소주 소비가 이뤄진다는 방증이다.

더욱이 필리핀 소주 시장에서는 진로 소주의 존재감이 가장 크다고 느껴졌다. 퓨어골드에 이어 지난 19일 방문한 SM마트와 S&R 매장 소주 코너에서 진로 소주가 가장 넓은 매대를 차지하고 있어서다. 이외로 롯데칠성의 순하리와 새로, 무학의 좋은데이, 신세계L&B의 OEM 소주 제품인 친구 등도 판매 중인데, 시음 행사 등 프모로션이 가장 활발한 모습이었다.

니코 S&R 바이어(Senior Buyer)(25)는 "S&R은 미국 코스트코와 유사한 회원제 창고형 할인매장으로, 다른 점이 있다면 주류 부문에 특화했다는 점"이라며 "소주는 주류 전문 카테고리 내에서 공백이 있었던 제품군으로, K-팝과 한국 드라마에 대한 관심이 높은 현지 시장 특성상 해당 수요가 확실히 존재했기 때문에 니즈 대응 차원에서 취급하게 됐다"고 말했다.

이어 "필리핀 내 K-컬처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어 지속적인 판매가 이뤄지고 있다. B2B(기업 간 거래) 사업자 회원 비중도 높아 도매상과 소규모 슈퍼마켓, 외식업자의 대량 구매도 이뤄지고 있다"며 "소주는 S&R의 차별화 경쟁력을 강화하는 데 효과적"이라고 덧붙였다.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