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3월 18일 화요일

  • 서울 4℃

  • 인천 5℃

  • 백령 2℃

  • 춘천 4℃

  • 강릉 1℃

  • 청주 3℃

  • 수원 5℃

  • 안동 3℃

  • 울릉도 3℃

  • 독도 3℃

  • 대전 2℃

  • 전주 2℃

  • 광주 3℃

  • 목포 3℃

  • 여수 4℃

  • 대구 4℃

  • 울산 4℃

  • 창원 6℃

  • 부산 5℃

  • 제주 4℃

라이프 '오히려 안 좋아' AI 때문에 트라우마 온다는 사람들

라이프 비즈 카드뉴스

'오히려 안 좋아' AI 때문에 트라우마 온다는 사람들

등록 2023.07.27 08:27

수정 2023.07.27 10:18

이성인

  기자

공유

'오히려 안 좋아' AI 때문에 트라우마 온다는 사람들 기사의 사진

'오히려 안 좋아' AI 때문에 트라우마 온다는 사람들 기사의 사진

'오히려 안 좋아' AI 때문에 트라우마 온다는 사람들 기사의 사진

'오히려 안 좋아' AI 때문에 트라우마 온다는 사람들 기사의 사진

'오히려 안 좋아' AI 때문에 트라우마 온다는 사람들 기사의 사진

'오히려 안 좋아' AI 때문에 트라우마 온다는 사람들 기사의 사진

'오히려 안 좋아' AI 때문에 트라우마 온다는 사람들 기사의 사진

'오히려 안 좋아' AI 때문에 트라우마 온다는 사람들 기사의 사진

'오히려 안 좋아' AI 때문에 트라우마 온다는 사람들 기사의 사진

'오히려 안 좋아' AI 때문에 트라우마 온다는 사람들 기사의 사진

챗GPT를 비롯한 생성형 인공지능(AI)의 등장으로 콘텐츠 업계 전반에 걸쳐 패러다임 변화가 목격되고 있었는데요. 이게 늘 새롭고 반가운 모습으로 나타나는 건 아니었습니다.

'AI'가 생산한 콘텐츠 중 부적절한 것들을 걸러내는 업무를 맡은 '사람'이 큰 스트레스를 받고 있는 것인데요. 이는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의 7월 24일(현지시간) 보도로 드러났습니다.

WSJ는 주로 인건비가 낮은 케냐 등에 이 같은 일자리가 집중되고 있으며, 이들 근로자는 폭력적이고 괴기한 내용의 AI발 콘텐츠를 접한 뒤 트라우마(정신적 외상)를 호소하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기업들은 '값싼' 근로자에게 AI가 만든 수천 개의 콘텐츠를 보고 분류하는 업무를 떠맡겼는데, 여기에 폭력·괴롭힘·자해·성폭력에 심지어 아동 성폭력에 대한 상세한 묘사까지 포함된 것이지요.

참혹하기 이를 데 없는 내용을 일일이 들여다봐야 하는 근로자들은 정신적 고통을 토로하기에 이르렀습니다. 케냐 노동자인 알렉스 카이루는 WSJ에 "그 일을 한 4개월은 최악의 경험"이라고 전하기도 했습니다.

AI가 이렇듯 유해 콘텐츠도 서슴없이 내놓는 건 생성형 AI들이 인터넷 속 가공할 양의 디지털 문서를 학습하는 거대언어모델(LLM)을 기반으로 구동되기 때문. 인터넷 속 나쁜 콘텐츠 역시 배움의 대상으로 삼는 것이지요.

못된 것도 잘 배운다는 점에서 사람과 똑 닮은 AI인데요. 근로자들은 케냐 의회에 AI 유해 콘텐츠에 노출되는 일의 위험성을 인식하고 관련 노동자 보호를 위한 법안 마련을 요구했습니다.

본격적으로 드러나기 시작한 AI의 유해성 문제. 우리나라에서도 챗GPT를 이용한 자기소개서 작성이나 소설·시나리오·그림 등 공모전 출품에 AI 힘을 빌리는 것 등이 점차 이슈화되고 있는데요.

공정한 경쟁이 요구되는 부문에서 AI를 어떻게 걸러낼지, 또 AI 생산 콘텐츠의 검열, 활용 범위, 저작권 문제까지, 앞으로 풀어야 할 숙제가 많습니다.

AI와 함께 살기, 쉽지만은 않네요.

관련태그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