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은 12일 ‘엔화 약세가 우리 수출입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에서 “지난해 자동차, 기계류, 철강 등의 수출 부진에는 엔저의 영향이 어느 정도 파급된 데 기인한다”고 밝혔다.
2012년 9월부터 지난해 10월까지 양국의 수출단가를 비교해 보면 일본산에 비해 상대적으로 한국산 기계류는 15%, 자동차는 8%, 철강은 5%가량 한국산의 단가 경쟁력이 약화된 것으로 분석됐다.
아울러 원·엔 환율이 1% 떨어질 때 한국산 자동차의 수출물량은 0.26% 줄고 철강은 0.27%, 기계류는 0.16% 각각 감소했다.
보고서는 “엔저가 한국의 수출에 미친 부정적 영향이 작년까지는 제한적이었지만 엔화 약세 기조가 더욱 심화되면 다른 양상으로 전개될 수 있다”며 “이에 대해 경계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보고서는 지난 2012년 9월 이후 진행되는 엔화 약세를 비롯해 1995년 이후 3차례에 걸친 엔저 시기에도 전체 수출물량은 증가하는 등 엔저가 한국 수출에 미치는 영향이 뚜렷하지 않았다고 평가하기도 했다.
이는 글로벌 경기가 더 큰 변수로 작용하는 가운데 한국 제품의 비가격 경쟁력 향상, 해외생산 확대 등 양국간 수출 경쟁구도가 변화한 것이 원인으로 분석됐다.
이창희 기자 allnewguy@

뉴스웨이 이창희 기자
allnewguy@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