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감원은 시중은행에 “금융회사 명칭을 불법으로 사용하거나 도용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며 “은행들이 직접 나서서 선제적인 대응이 필요하다”고 요구했다.
금감원은 현재 은행에만 요청했지만 향후 보험, 카드, 증권 등 금융회사 전체에도 공문을 통해 요구할 것으로 알려졌다. 금감원은 구체적인 대응 방안을 마련을 요청한데 이어 협력사에도 통제가 잘 되고 있는지 점검할 것을 주문했다.
그동안 금융권을 사칭한 곳은 주로 대부업체들이었다. 은행이나 금융권 명칭을 사용하면서 마치 제1금융권인 것 처럼 보이게 해 소비자들을 기만한 사례가 적지 않았다.
최근에는 금융권 명칭을 함부로 쓰면서 교묘하게 이름을 앞뒤로 바꾼 사례도 적지 않았다. 예를 들어 00은행이라면 00대부, 주식회사 00으로 명칭을 바꿔 사용해왔다.
시중은행들은 대부업체들이 이같은 명칭을 사용한 사실을 알았지만 작은 업체며 실제 법적 시간 등을 이유로 ‘경고’하는 차원에서 끝내는 경우가 많았다.
금감원 관계자는 “금융회사를 사칭하면서 피해를 보는 사람은 금융소비자지만 실제 금융회사일수 있다”며 “그동안은 소규모였지만 앞으로는 적극적으로 대응해 사전 피해를 예방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금감원은 이번 선제적 대응 주문에 협력사에 대한 감시 강화도 꼬집었다. 현재 영업협력사들의 문제점도 적지 않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현재 금융권 협력사들 대부분은 동일한 금융회사 브랜드 명칭을 사용하고 영업을 하고 있다. 문제는 일부 영업사들이 이른바 딜러 등 하청회사를 만들면서 이 같은 명칭을 사용하게끔 허락하는 것이다. 이같은 피해는 금감원 민원접수에서 종종 등장하고 있다.
금감원 관계자는 “영업과 관련한 협력사 일부는 마치 건설사 처럼 하청회사를 만들고 있고 회사가 없어지면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며 “이번에 협력사에 대해 요청한 것은 하부 회사들이 함부로 명칭을 사용하지 못하도록 하는 것도 포함됐다”고 말했다.
최재영 기자 sometimes@

뉴스웨이 최재영 기자
sometimes@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