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라운드 동시오름 입찰···낙찰가 5조원대 전망도
특정 주파수가 어느 업체에 낙찰되느냐에 따라 이동통신시장의 판도를 뒤집어 놓을 수 있는 파급력을 갖고 있는데다 복잡한 경매방식도 낙찰가 상승에 큰 영향을 줄 전망이기 때문이다.
본격적인 ‘쩐의 전쟁’ 돌입을 앞두고 이통3사는 분주히 계산기를 두드리고 있다. 이번 경매는 KT 인접대역을 할당하지 않는 밴드플랜1과 KT 인접대역을 포함하는 밴드플랜2의 싸움이다.
1단계는 참여업체들이 계속 입찰액을 높여가는 동시오름 입찰방식으로 진행된다. 50라운드로 이뤄지며 라운드별로 얼마나 입찰액을 높일지의 최소 범위(입찰증분)는 미래부가 정하게 돼 있다.
1단계에서 낙찰자가 정해지지 않으면 밀봉입찰 방식으로 2단계 경매가 진행된다.
밀봉입찰은 말 그대로 입찰액을 밀봉해서 제시하는 것으로 참여업체 가운데 가장 높은 금액을 써낸 업체에 해당 주파수가 낙찰된다.
여기에다 경매 대상이 되는 주파수 대역의 조합(밴드플랜)도 2개다. 미래부는 두 개의 밴드플랜 가운데 입찰규모가 높은 밴드플랜을 할당할 방침이다.
각 대역의 최저 가격은 2.6㎓ 대역(A1·A2·B1·B2) 4788억원, 1.8㎓ 대역의 C1·C2가 6738억원, D블록이 2888억원이다.
응찰자가 없어도 최저가가 경매 출발가에 합산된다. 이에 따라 경매 출발가는 양쪽 모두 최저가 기준 1조9202억원이다.
출발가부터 높은 가격으로 시작한 경매는 복잡한 방식과 업체들의 전략적 금액제시로 최종 낙찰가가 5조원까지 치솟을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특히 밀봉입찰이 단 1회로 진행되며 상한금액이 정해져 있지 않아 천문학적인 낙찰 금액이 나올 가능성도 있다. 업계에서 이번 주파수 경매가 ‘돈 놓고 돈’ 먹는 ‘쩐의 전쟁’으로 불리는 이유다.
이같은 상황에 미래부는 이통3사의 이권을 떠나 국가의 중장기적인 통신 정책의 밑그림도 없이 ‘돈 내는 기업만 특혜를 보장한다’는 인식만 심어주고 있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또한 주파수 경매과정에서 벌어질 이통사간의 ‘쩐의 전쟁’이 결국 사용자 통신요금 부담 증가로 이어질 것이라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이주현 기자 jhjh13@

뉴스웨이 이주현 기자
jhjh13@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