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리츠증권, 전산 오류 극복 위해 200억원 투자해외주식 안정화 TF 구성, 대응 체계·보상 기준 개편오류 3회·저조한 전산운용비 지적에···'신뢰 회복' 나서
26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메리츠증권은 해외주식 거래 시스템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전방위 점검을 실시하고 오는 2026년까지 200억원 규모의 IT 인프라 투자에 나선다.
메리츠증권은 지난 3월부터 '해외주식 서비스 안정화 태스크포스(TF)'를 운영해왔다. TF팀은 외부 전문 인력과 해외주식 시스템 구축 경험이 있는 증권사 출신 인사 20여 명 규모로 구성됐다. 장원재 메리츠증권 대표 주도로 매주 위원회를 열고 운영 프로세스와 IT인프라를 점검하고 있다. 자사 사례와 더불어 타사에서 발생한 오류까지 폭 넓게 분석해 사고 원인을 도출하고 사전예방을 위한 대응방안을 마련 중이라는 설명이다. 대응 체계도 개편한다. 고객 보상 기준과 절차를 보다 촘촘하게 재정비한다는 계획이다. 시세 이중화와 실시간 모니터링 강화 등도 추진한다.
최근 메리츠증권은 연이어 발생한 전산오류로 골머리를 앓은 바 있다. 지난 6일 메리츠증권의 홈트레이딩시스템(HTS)와 모바일트레이딩시스템(MTS)에서 발생한 전산 장애로 1시간 가량 미국주식 매도와 매수 주문 체결이 지연되면서 투자자들이 불편을 겪었고, 지난해 12월 19일에도 미국주식 주문 오류가 발생한 바 있다. 지난 2월에는 미국 주식 합병 비율 산정 오류로 주식을 1주가 아닌 30주씩 지급하는 사고가 발생하기도 했다.
지난해 메리츠증권의 전산운용비가 10대 증권사 중 규모가 가장 작았던 만큼 고객 자산 보호를 위한 서비스 안정화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이어졌다. 지난해 11월 리테일 강화를 위한 수수료 무료 정책 등 리테일 강화에 1000억원을 쏟은 것에 비해 고객 자산 보호를 위한 전산운용비 확대에는 인색하다는 우려에서다.
지난해 메리츠증권의 전산운용비는 143억원으로 전년(138억원) 대비 5억원(3.62%) 늘어나는데 그쳤다. 이는 10대 증권사(미래에셋·키움·삼성·KB·신한투자·한국투자·NH투자·대신·하나·메리츠) 중에서 가장 작은 규모다. 한 계단 앞선 9위 하나증권(322억원)의 전산운용비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고, 1위를 기록한 미래에셋증권(1235억원) 대비 약 10분에 1 수준이다.
이번 IT 인프라 투자로 메리츠증권의 전산운용비는 큰 폭으로 확대될 전망이다. 그럼에도 여전히 10대 증권사 중 메리츠증권의 전산운용비 순위는 하위권에 머무를 것으로 예상된다. 증권사들이 매년 일정 비율로 전산운용비를 늘리고 있어 오는 2026년까지 투입되는 200억월을 감안해도 메리츠증권의 전산운용비 규모가 300억원을 밑돌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이는 10대 증권사 중 9위 하나증권의 지난해 전산운용비 322억원보다 작은 규모다.
메리츠증권 관계자는 "시스템 안정을 위한 투자에 인력과 서버 증축 등이 포함되는 만큼 전산운용비에 해당하지 않는 비용도 많은 비중을 차지한다"며 "인건비와 유용자산 등에 포함되는 비용을 합치면 대략 240억원 규모가 시스템 안정화를 위해 사용되고 있고 자산 규모가 늘어나는 만큼 시스템 안정화를 위한 비용을 꾸준히 확대해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관련태그

뉴스웨이 김다혜 기자
kdh0330@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