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조 성능·내구성·AI 기능 대폭 높였다국내 일체형 세탁건조기 점유율 70% 달성수요 높은 '벤트 구조'로 북미 시장 공략 집중
성종훈 삼성전자 DA사업부 의류케어개발그룹장(상무)가 22일 열린 '비스포크 AI 콤보' 미디어 브리핑에서 지난 3월에 출시한 2025년형 비스포크 AI 콤보의 기술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사진=고지혜 기자)
22일 서울 중구 소재 삼성전자 기자실에서 진행된 '비스포크 AI 콤보' 미디어 브리핑에서 성종훈 삼성전자 DA사업부 의류케어개발그룹장(상무)은 "비스포크 AI 콤보는 국내 일체형 시장에서 약 70%의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다"며 "성능과 디자인을 대폭 개선한 2025년형 신제품도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고 설명했다.
삼성전자는 지난해 2월 세탁기와 건조기를 하나로 합친 일체형 세탁건조기 '비스포크 AI 콤보'를 첫 출시했다. 공간 효율성과 편의성을 내세운 이 제품은 출시 1년 만에 국내 누적 판매량 10만대를 돌파하며 인기를 입증했다. 하루 평균 약 230대가 판매되는 셈이다. 흥행 기세를 이어 올해 3월에는 AI 기능과 건조 성능을 대폭 높인 2025년형 신제품을 선보였다.
상쾌한 빨랫감 위해···건조·AI 기능 강화
신제품은 세탁 용량 25㎏·건조 용량 18㎏으로, 한국에너지공단 기준 가정용 세탁기 용량, 드럼 모델의 건조용량 중 최대 용량을 자랑한다.
이번 2025년형 비스포크 AI 콤보의 핵심은 한층 개선된 건조 성능이다. 성종훈 상무는 "개발 초기부터 옷감 전체가 고르게 건조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고민이 많았다"고 말했다.
먼저 전열 면적을 기존 대비 8.5% 확대했다. 세탁물을 통과한 고온다습한 공기의 수분을 더욱 빠르게 제거할 수 있도록 했으며, 외관 크기를 유지하면서 열교환기 핀을 기존보다 촘촘하게 배치해 공기 접촉 면적을 넓혔다. 이를 통해 습도를 빠르게 낮출 수 있다는 설명이다.
삼성 고유 기술인 덕트 시스템도 적용됐다. 뜨거운 공기가 드럼 내부 상단뿐 아니라 하단까지 골고루 순환하게 했다. 열풍이 구석구석 전달되지 않는 문제점을 보완해 준다.
건조 알고리즘 역시 업그레이드됐다. 빨래 양이 적을 때는 드럼 속도를 낮추고 온도의 상승 속도를 높여 빠르게 건조하고, 빨래 양이 많을 때는 드럼 속도를 높이고 온도의 상승 속도를 낮춰 균일하게 건조할 수 있도록 했다.
세탁·건조가 끝이 난 후 세탁건조기 내부에 습기가 남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오토 오픈 도어+'기능도 추가됐다. 세탁 및 건조가 끝남과 동시에 문을 자동으로 열고 내부에 송풍을 가하는 방식으로, 도어를 닫았을 때 100%에 달했던 내부 습도가 61.55%까지 줄일 수 있다는 설명이다.
이번 신제품에서 AI기능을 한층 정교화시켜 사용자의 편리성을 대폭 높였다. 'AI맞춤+' 기능은 세탁물의 무게와 소재를 자동으로 분석해 최적의 세탁·건조 코스를 설정한다. 사용자가 옷감을 구분하지 않고 세탁건조기에 집어넣기만 하면 AI가 옷감을 감지해 편리성을 대폭 높였다는 것이다.
특히 '쾌속 코스'를 적용하면 전작 대비 20분가량 단축된 79분 만에 뽀송한 옷을 받아볼 수 있다. 쾌속 코스 외에도 국내 사용자 니즈에 맞춘 '데님코스', '손빨래코스' 등이 추가됐다. 특히 데님코스는 이염 방지를 위해 찬물이 나오고, '손빨래 코스'는 마모감을 줄이는 등 세심한 설정이 특징이다.
세탁건조기 외관에는 전작과 동일하게 7형 터치 디스플레이 'AI 홈'이 탑재됐다. 성 상무는 "자주 사용하는 6개 코스를 다이얼 패널 형태로 직관적으로 구성했다"고 설명했다. 세탁건조기 화면에서 전화를 걸고 받을 수 있을 뿐 아니라 메모, 인터넷, 영상, 타이머, 날씨 등 모바일 기능도 사용할 수 있다.
빅스비도 개선됐다. 기존에는 "빅스비"라고 호출 후 명령을 내려야 했지만 이번 제품부터는 호출 없이 음성으로만 명령을 인식해 동작할 수 있다. 스마트싱스(SmartThings)와 연동해 집 안 다른 가전제품을 원격 제어하기에 세탁기에 대고 "세탁건조기를 데님코스로 돌리고, 에어컨은 풍량을 더 세게 해줘"라고 명령하면 차질없이 실행한다.
내구성 또한 강하다. 성 상무는 "세탁건조기 무게를 25KG으로 유지하면서 일체형 콤보 구조로 개발했고 드럼을 지지하는 '축계' 부품을 키우고 덕트 커버를 스틸로 제작해 기존 단독 세탁보다도 내구성이 뛰어나다"고 설명했다.
일체형 세탁건조기 국내서 보장···북미 시장 강화
삼성전자는 국내 일체형 세탁건조기 기준 약 70%의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지난해 미국, 영국, 독일 등 30여개국에 진출한 데 이어 올해 인도, 터키, 남아프리카공화국 등 43여개국으로 확대했다. 성 상무는 "올해는 2배 이상 판매를 목표로 매진하고 있다"고 밝히기도 했다.
글로벌 시장 중 북미 시장을 중점적으로 공략할 방침이다. 지난달 삼성전자는 '비스포크 AI 벤트 콤보'를 출시했다. 벤트형 방식은 히터로 공기를 가열해 의류를 건조하고 배기통을 통해 외부로 배출하는 구조다. 건조시간과 건조 성능 면에서는 히트펌프 대비 경쟁력이 있지만 외부 열 배출로 에너지 사용이 더 많아진다. 북미의 경우 공기를 순환시키는 히트펌프 방식을 주로 사용하는 국내와 달리, 약 90%의 가정에서 벤트형 건조기를 사용하고 있다.
현재 삼성전자는 북미 시장에 약 1000만대의 판매량을 기록하고 있지만, 일체형 세탁건조기의 경우 초기 진출 상태라 현저히 적다. 성종훈 상무는 "벤트 타입의 일체형 세탁건조기는 삼성전자가 처음"이라며 "올해 미국, 캐나다, 멕시코에 벤트 타입을 출시하는 등 히트펌프, 벤트 방식을 모두 활용해 시장을 주도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날 삼성전자는 연내 초프리미엄 라인업인 '인피니트 AI 콤보' 출시 계획도 밝혔다. 인피니트 AI 콤보는 디자인에 집중한 제품이다. 가벼운 터치만으로도 열리는 '히든 도어'로 돌출되는 부분 없이 매끈한 플랫 디자인을 적용했고, '롱아트 헤어라인' 공법과 빛의 반사를 최적화하는 부드러운 광택감을 살렸다.

뉴스웨이 고지혜 기자
kohjihye@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