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부 ‘K-배터리 발전전략’ 발표 배터리 3사, 2030년 40조+α 투자
문승욱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8일 LG에너지솔루션 오창 제2공장 부지에서 이 같은 내용을 담은 관계부처 합동 'K-배터리 발전 전략'을 발표했다.
이날 배터리 3사 관계자는 ‘K-배터리 발전전략 보고’에 참석해 각사의 전략을 발표하기도 했다.
LG에너지솔루션은 대한민국을 배터리 기술 허브로 육성하기 위해 향후 10년간 15조1000억원을 투자하고 8000여명의 일자리 창출에 기여한다.
이날 발표에 직접 나서 김종현 LG에너지솔루션 사장은 “국내가 R&D 및 생산 기술 허브가 돼 전 세계 차세대 배터리 개발과 생산 기술을 이끌 것”이라며 “배터리 전문 인력을 공고히 육성하고 소부장 업체와 협력해 밸류체인을 더욱 탄탄히 만들겠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LG에너지솔루션은 국내에 배터리R&D 및 생산기술 삼각허브를 구축한다.
김 사장은 “오창은 스마트 팩토리 구현을 위한 전초기지가 될 것이고 대전 연구소는 차세대 소재 및 미래형 공정 혁신을 통한 제품의 차별화를 이끌게 될 것”이라며 “수도권 연구소는 리튬황, 전고체 전지 등 차세대 전지 연구개발에 집중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LG는 차세대 배터리 전문 인력 육성을 위해 오창연구소에 LG IBT(Institute of Battery Tech)도 설립한다. 전세계 배터리 업체 중 전문교육기관을 신설하는 것은 LG에너지솔루션이 최초다.
삼성SDI는 현재 개발 중인 전고체배터리에 대해 소개했다. 전고체 배터리는 양극과 음극 사이에서 이온을 전달하는 전해질을 액체가 아닌 고체로 대체한 배터리로 리튬 이온 배터리 대비 화재 위험이 적다.
장혁 삼성SDI 부사장은 “삼성이 개발 중인 전고체 전지 기술의 경우 핵심 소재인 고체전해질은 이온 전도도 향상 설계, 합성에 성공해 신규 조성을 특허화했다”며 “음극을 직접 리튬으로 사용함에 따른 수명 문제는 나노 소재를 이용한 삼성 독자의 무 음극 기술로 해결해 최고 권위 학술지인 네이처지에 논문으로 게재한 바도 있다”고 강조했다.
삼성SDI는 현재 전고체 배터리를 프로토 Cell로 제작 평가하고 있으며 오는 2025년 전고체 배터리 시제품을 공개한 뒤 2027년 양산에 나선다는 목표를 제시한 바 있다.
장 부사장은 “리튬이온 전지가 세상에 나온지 30년이 됐고 2030년 400조 시장 이상이 예측되고 있다”며 “삼성SDI는 기술 한계 도전을 통해 완전히 안전한 전고체 배터리 개발의 선두주자가 되겠다”고 말했다.
이날 산업부가 발표한 ‘K-배터리 산업 발전전략’에도 전고체·리튬황·리튬금속 등 차세대 배터리 상용화를 지원하는 대규모 연구개발(R&D) 사업추진 방안이 담겼다.
SK이노베이션은 배터리 안전성에 대해 강조했다. 이장원 SK이노베이션 배터리 연구원장은 “전극의 단락을 막아주는 분리막은 더 얇으면서도, 더 강하고, 더 고온에서 견딜 수 있도록 개발될 것이고 한 치의 오차도 없는 전극의 정렬을 이루어낼 수 있는 생산기술과 검사기술이 지속적으로 발전돼 배터리의 안전성을 높여 나갈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설사 예기치 못한 요인에 의해 화재가 발생하더라도 화재의 전이를 막을 수 있는 기술들이 이미 개발되어 있고, 앞으로도 더욱 발전될 것이기에 배터리의 안전성에 대해서도 고민하지 않게 될 것”이라며 “저희 개발자들이 꼭 이렇게 만들어 내겠다”고 강조했다.

뉴스웨이 이지숙 기자
jisuk618@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