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흥식 금융감독원장은 20일 서울 여의도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 참석해 “공공기관과 은행의 채용비리가 확인되면서 제2금융권의 채용실태도 점검해야 한다는 사회적 공감대가 형성됐다”며 이 같이 밝혔다.
다만, 제2금융권은 지배주주가 경영권을 행사하는 경우가 많아 은행이 비해 민간회사의 성격이 강한 만큼 우선 내부 고발을 적극 유도할 방침이다. 현재 금감원 홈페이지의 ‘불법금융신고센터’ 내 ‘금융부조리신고’를 통해 채용비리 관련 제보를 접수 중이다.
금감원은 제보의 신뢰성과 불법 행위의 경중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현장점검 실시, 관련기관 이첩 등의 조치를 할 예정이다.
제2금융권의 특성을 감안해 올해 계획된 내부통제 부문검사 시 채용실태 점검을 병행하는 방안도 추진 중이다.
제2금융권 회사는 980여개로 금감원의 검사인력을 감안할 때 은행과 같은 일제점검은 어렵다. 금융사의 규모 또는 공채 채용 인원 수 등을 고려해 검사 대상을 선정할 계획이다.
최 원장은 “제2금융권이 다수 국민의 자금 운영이나 금융시장 거래 중개 등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는 점과 부실화될 경우 공적자금이 투입된 전례 등을 감안할 때 높은 공공성이 요구된다”고 강조했다.
이어 “채용절차 등에 대한 은행권의 모범 실천 방안이 마련되는 대로 제2금융권에 배포하고 회사별 자체 점검도 실시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금감원은 지난해 12월과 올해 1월 두 차례 은행권에 대한 검사를 통해 채용비리가 의심되는 5개 은행의 사례 22건을 적발했다.
의심 사례는 KEB하나은행이 13건으로 가장 많고 KB국민은행과 대구은행 각 3건, 부산은행 2건, 광주은행 1건이다. 특히 하나은행과 국민은행은 이른바 ‘VIP 채용 리스트’를 작성해 각각 55명, 20명에게 특혜를 준 것으로 알려졌다.
금감원으로부터 검사 결과를 넘겨받은 검찰은 해당 은행을 압수수색하는 등 수사를 진행 중이다.

뉴스웨이 장기영 기자
jky@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