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재동 aT센터, 생화소비 촉진 ‘조화 사용 화환 청정지역’ 추진신화환 3종 소개, 꽃바구니 분리 방문객 답례품으로 활용 가능
화환은 절화(생화)의 주요 소비 형태로, 우리나라 연간 경조사 화환 사용량은 약 712만개, 금액으로는 약 7,120억 원 가량인데, 이 중 상당수가 재사용되며, 주로 중국산이나 조화 꽃으로 보충하여 재사용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기존 3단 화환은 획일적인 꽃 종류와 디자인뿐만 아니라 대형화에 따른 꽃 소요가 많아 조화 사용량이 많은 편이고, 또한 화환이 재사용될 경우 꽃 품질이 낮아져 소비자의 신뢰도 저하라는 문제가 우려된다.
이처럼 조화를 사용할 경우, 생화 소비도 줄어들고 소비자의 꽃 구매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늘어나 화훼농가에 피해를 주고 있다.
신화환의 경우, 꽃(바구니)과 받침대(틀)가 쉽게 분리되어 행사 후 방문객에 선물로 제공하거나 장식·인테리어에 활용하는 등 2차 활용이 가능하며, 작은 꽃다발을 결합한 형태의 디자인으로 구성할 경우에도 행사 후 손님들에게 좋은 답례품으로 활용할 수 있다.
aT 여인홍 사장은 “예로부터 축하 화환은 사랑과 정성, 다복, 번영 등 상징적인 의미가 크다”라며, “조화나 재사용 화환이 아닌, 신화환 사용 확대를 통해 이러한 의미를 되새기고 나아가 다양한 계절 꽃을 활용한 창의적 화환작품의 활발한 개발과 보급을 기대한다”라고 밝혔다.

뉴스웨이 강기운 기자
kangkiun@naver.com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