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일 SK텔레콤에 따르면 오후 6시쯤 가입자 인식장비에 오류가 발생해서 음성통화와 데이터 서비스에 장애가 발생했다.
이로 인해 SK텔레콤 일부 고객들은 전화를 걸면 서비스 불가 표시가 나타나거나 수신이 되지 않는 불편을 겪었다.
가입자 인식장비 오류는 장애 발생 24분만인 오후 6시 24분쯤에 복구를 완료했지만 전화가 폭주하면서 통신망 과부하로 통화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특히 일부 이용자에게 전화를 걸면 ‘결번(없는 번호)’이라고 나오거나 아무런 신호음이 없이 전화가 끊기는 현상이 서울은 물론이고 전남과 광주 등 지방에서도 발생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 이번 장애가 통화는 물론 데이터에도 발생했던 만큼 이메일이나 지도, 내비게이션 등에도 문제가 발생했던 것으로 전해졌다.
실제 SK텔레콤 망을 이용한 택시 등의 결제 서비스도 일부 마비돼 이용자들이 혼란과 불편을 겪었다.
이에 대해 SK텔레콤은 “가입자 인식장비에 장애가 발생해서 하드웨어 복구 작업을 완료했으나 장애 발생 때 시도했던 콜들이 한 번에 나가려고 하다 보니 과부하가 걸렸다”며 “트래픽 과부하로 인한 2차 피해를 방지하고자 이를 제어해 나눠서 콜을 내보내다보니 일부 고객들이 아직 불편을 겪고 계신 것으로 알고 있다”고 설명했다.
SK텔레콤은 전화 폭주 현상이 낮아질 때 쯤 순차적으로 차단을 풀 예정이다.
SK텔레콤은 “현재 정확한 원인과 피해 규모를 파악 중에 있으며 현장에 전담 인력을 투입해 빠른 시간 내에 서비스가 정상화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또 “향후 정확한 원인 및 피해 규모가 파악되는 즉시 고객 여러분들께 결과를 알려드리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SK텔레콤 약관에는 고객 책임 없이 3시간 이상 서비스를 제공받지 못하면 원칙적으로 기본료와 부가사용료의 6배에 해당하는 금액을 최저 기준으로 손해배상 받을 수 있도록 규정돼 있어 이번 장애가 대규모 배상으로 이어질지 귀추가 주목된다.
김아연 기자 csdie@
관련태그

뉴스웨이 김아연 기자
csdie@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