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06월 06일 목요일

  • 서울 19℃

  • 인천 17℃

  • 백령 15℃

  • 춘천 17℃

  • 강릉 17℃

  • 청주 18℃

  • 수원 16℃

  • 안동 14℃

  • 울릉도 17℃

  • 독도 17℃

  • 대전 18℃

  • 전주 18℃

  • 광주 17℃

  • 목포 18℃

  • 여수 18℃

  • 대구 18℃

  • 울산 17℃

  • 창원 17℃

  • 부산 17℃

  • 제주 19℃

1000조 가계부채 시한폭탄 ‘째각째각’

1000조 가계부채 시한폭탄 ‘째각째각’

등록 2013.12.23 16:47

조상은

  기자

개인회생 급증·비은행대출 연체율 상승내수회복·개인소득 확대 해결책 ‘1순위’

급증하는 가계부채가 내년 한국 경제를 뒤흔들 수 있는 뇌관이라는 지적이 일고 있다. 가계부채의 증가는 금융시장은 물론 실물경제에까지 나락으로 빠뜨릴 수 있기 때문이다.

가계부채 경고음은 도처에서 지표로 확인되고 있다. 우선 올해 3분기 기준 991조7000억원을 기록한 가계부채는 1000조원을 이미 넘어선 것으로 추정된다. 또 개인회생 신청과 가처분소득 대비 원리금 상환 비중, 저소득계층의 비은행대출 연체율도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예산정책처가 올해 6월 발표한 ‘가계부채의 현황 및 대응방안’에 따르면 최근 10년간 명목GDP대비 가계부채비율은 2003년 73.9%에서 2012년 91.1%로 20%포인트 가까이 급증했다.

특히 가처분소득 대비 가계비율은 2003년 12.6%에서 지난 2008년 말 149.7%로 늘었다가 2012년 163.8%, 지난 9월 말 169.2%까지 치솟았다.

가처분소득은수입에서 고정지출을 제외하고 남은 돈이 얼마인지 알려주는 지표로 부채가 많은 가계일수록 이자와 원금을 갚아야 하는 비중이 커진다. 그만큼 가계가 소비할 수 있는 여력이 줄어든다는 의미다.

전문가들은 가계부채의 원인이 경기침체, 양극화 등 복합적으로 이뤄지고 있어 뾰족한 대책이 없다는 점이 문제라고 지적했다.

박덕배 현대경제연구원 전문연구위원은 “경기 및 부동산시장 침체 등 현재의 경제여건이 악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위험 수준의 상승세가 지속될 전망”이라며 “경기 침체 장기화, 비은행권의 원금상환 요구 가능성, 주택가격 하락세 등으로 가계부채 위험 상승 가능성도 높아 한국 경제에 최대 위협 요인이 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김완중 하나금융경영연구소 연구위원도 “가계부채 해결의 근본적인 방안은 소득을 늘리는 데 있다”면서 “결국 경제가 선순환구조로 가고 내수가 살아나면서 자영업자의 소득이 늘 수 있도록 하는 게 1순위 방안”이라고 말했다.


조상은 기자 cse@

뉴스웨이 조상은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