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융일반
韓·美 상호관세 협상 초읽기···'제로성장' 시험대 오른 韓경제
미국의 상호관세 부과 시한이 임박하면서 한국 정부가 최종 협상에 나섰다. 결렬 시 25% 고율관세가 현실화돼 한국경제는 '제로성장' 위기에 직면할 전망이다. 환율은 1400원을 돌파할 수 있으며, 수출·제조업·금융시장 전반에 충격이 예상된다. 타협 가능성이 남아 있지만 정부의 대응력이 시험대에 오른 상황이다.
[총 1,919건 검색]
상세검색
금융일반
韓·美 상호관세 협상 초읽기···'제로성장' 시험대 오른 韓경제
미국의 상호관세 부과 시한이 임박하면서 한국 정부가 최종 협상에 나섰다. 결렬 시 25% 고율관세가 현실화돼 한국경제는 '제로성장' 위기에 직면할 전망이다. 환율은 1400원을 돌파할 수 있으며, 수출·제조업·금융시장 전반에 충격이 예상된다. 타협 가능성이 남아 있지만 정부의 대응력이 시험대에 오른 상황이다.
금융일반
원·달러 환율 장 초반 소폭 하락···한미 관세협상 결과에 주목
30일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환율이 한미관세협상 결과를 앞두고 2.3원 내린 1388.7원을 기록했다. 미국무역정책 영향으로 달러 강세가 이어지며 시장에 긴장감이 유지되고 있다. FOMC 기준금리 결정이 임박해 환율 변동성이 커질 전망이다.
종목
[마감시황]연고점 경신 후 외국인·기관 매도···코스피 다시 3200선 아래로
코스피 지수가 장중 연고점을 돌파했으나 외국인과 기관의 순매도세로 하락 전환해 3169.94에 마감했다. 삼성전자 등 대형주가 하락세를 주도했으며, 코스닥도 시가총액 상위주 하락에 812.97로 마감했다. 달러-원 환율은 1387.8원으로 소폭 하락했다.
은행
환율 다시 1400원 넘나···'엎친 데 덮친 격' 은행권 부담 ↑
은행권은 정부의 고강도 대출 규제로 하반기 수익성 악화가 예상되는 가운데 고환율 흐름으로 인한 재무 건전성 악화라는 이중고에 직면했다. 원·달러 환율은 지난 18일 1393원까지 치솟으며 1400원 선을 위협하고 있다.
금융일반
6월 수입물가 다섯 달 연속 하락···원·달러환율 하락 영향
6월 국내 수입물가가 5개월 연속 하락했으며, 원·달러 환율의 하락이 국제유가 상승 효과를 상쇄해 수입 원가를 떨어뜨렸다. 수출입물가지수 모두 내림세를 보였으나, 무역지수와 소득교역조건지수는 각각 4%, 11% 상승하며 수출로 벌어들이는 외화의 실질 가치가 높아졌다.
전기·전자
관세에 환율까지···삼성전기·LG이노텍, 2분기 '어닝쇼크' 맞나
삼성전기와 LG이노텍은 2분기 환율 하락과 미국 관세 영향으로 실적이 시장 기대치를 밑돌 전망이다. 삼성전기는 1분기 호조에도 불구하고 영업이익이 하락세로 전환될 것으로 보이며, LG이노텍은 매출과 이익 모두 큰 폭으로 감소할 예상이다. 하반기 IT 수요와 주요 고객사 판매량 역시 불확실성이 크다.
투자전략
[개장시황]코스피, 개인·외인 매수에 3100선 출발...코스닥도 0.46%↑
코스피 지수는 개인과 외국인 투자자의 매수세에 힘입어 3100선을 돌파하며 상승 출발했다. 코스닥 역시 개인 투자자의 순매수로 강세로 개장했으며, 시가총액 상위 종목 대부분이 오름세를 보였다. 같은 시각 원·달러 환율은 하락하여 투자심리에 긍정적으로 작용했다.
금융일반
물가 다시 2%대 진입···한은 "7월 물가 오름폭 축소될 것"
6월 소비자물가는 전년 대비 2.2% 상승해 다시 2%대로 진입했다. 한국은행은 국제유가·환율이 안정세를 지속할 경우 7월에는 소비자물가 상승폭이 줄어들 것으로 내다봤다. 다만, 미국 관세정책, 중동 정세, 기상 등 불확실성은 여전하다고 진단했다.
투자전략
[개장시황]코스피, 개인 매수세에 3100선 위에서 '상승 출발'
26일 코스피와 코스닥 지수 모두 개인 투자자의 순매수에 힘입어 상승 출발했다. 외국인과 기관 투자자는 동반 순매도를 기록했고, 시가총액 상위 종목은 혼조세를 나타냈다. 같은 시각 원달러 환율은 소폭 하락하며 금융 시장에 안정 신호를 보였다.
금융일반
[금융안정보고서]한은 "스테이블코인, 잠재적 위협···환 변동·자본유출입 확대"
한국은행은 외화 기반 스테이블코인의 급격한 확산이 금융시스템 안정성과 경제 전반에 잠재적 리스크를 초래할 수 있다고 판단했다. 준비자산 신뢰 훼손 시 디페깅 및 대규모 환매 등으로 금융 불안이 확대될 수 있으며, 환율 변동성과 자본유출입 확대, 기술적 오류 및 범죄 악용 가능성 등도 주요 위험 요인으로 지적됐다.
+ 새로운 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