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인 VIP 유치·복합문화공간 투자 확대매출 구조 다변화, 새로운 성장동력 확보내국인 독점권 만료 앞두고 체질 개선 시도
이 같은 전략 변화의 출발점은 지난해 9월 문화체육관광부로부터 받은 카지노업 변경 허가다. 이를 통해 강원랜드는 영업장 면적과 게임기 수를 대폭 늘리고, 외국인 전용존의 출입 조건과 베팅한도 역시 크게 완화했다. 기존 시민권자에게만 허용하던 출입 대상도 영주권자까지 확대했고, 베팅한도는 30만원에서 3억원으로 상향 조정됐다. 여기에 1796억원을 투입하는 제2카지노영업장과 대규모 복합문화공간 신설 계획까지 더해지며, 강원랜드는 내국인 중심 수익 구조에서 탈피해 해외 고액 고객 및 체류형 관광객을 겨냥한 새로운 성장 모델을 구축하고 있다.
이는 단순화된 매출 구조를 탈피하려는 시도다. 2024년 기준 연결 매출 1조4544억원 중 85.6%가 카지노에서 발생하는 반면, 호텔·콘도·워터월드·스키장·골프장 등 비게임 사업은 합쳐도 12%대에 불과하다. 내수 시장의 성장 정체와 정부 정책 변화, 규제 환경 변화에 더욱 취약한 사업구조가 장기적으로는 경영 리스크로 작용할 수 있다는 내부적인 판단에서 변화를 꾀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강원랜드가 외국인 VIP와 체류형 관광객 유치에 사활을 거는 이유도 이와 무관하지 않다. 최근 인천 파라다이스시티, 인스파이어 등 대형 복합리조트가 외국인 고객 확보에 공격적으로 나서며 업계 경쟁이 한층 치열해졌다. 이에 맞서 강원랜드도 글로벌 고객층을 본격적으로 겨냥하고, 2027년 완공을 목표로 복합문화공간 신설과 함께 리조트 내 체류형 콘텐츠 강화, 방문객 만족도와 체류 시간 증대를 내세우고 있다.
그러나 회사가 최근 수년간 체험형 프로그램과 패키지 등 비게임 콘텐츠를 지속적으로 늘려왔음에도 리조트·콘도·레저 등 비카지노 부문에서의 실적 개선 효과는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고 있다. 외국인 VIP와 신규 관광객 유치에 공을 들이고 있지만, 이러한 노력이 실제 매출 구조 변화로 이어질 수 있을지는 아직 미지수다.
매출의 13%를 폐광지역개발기금, 최대 10%를 관광진흥개발기금 등 각종 준조세로 납부하고, 1000억원 초과 매출에는 개별소비세 4%(교육세 별도 30%)와 중독예방치유부담금(0.35%)까지 추가로 부담해야 하는 점도 수익성 개선의 발목을 잡고 있다. 실제로 연간 1800억~2000억원 규모의 각종 기금과 세금이 발생해, 외형 성장만으로는 실질적 체질 개선이 쉽지 않은 구조다.
더 큰 과제는 강원랜드의 내국인 독점 사업권이 '폐광지역 개발 지원에 관한 특별법'에 따라 2045년까지만 한시적으로 보장된다는 점이다. 독점권이 만료될 경우, 강원랜드의 사업 존립 자체가 위협받을 수 있다는 점은 회사뿐 아니라 지역사회에도 중대한 변수로 작용한다.
이러한 배경에서 강원랜드는 단기 실적보다 중장기적 사업 체질 개선과 지속가능한 성장 전략에 방점을 찍고 있다.
회사는 "2027년까지 복합문화공간을 완공하고, 하이원만의 차별화된 체험형 콘텐츠를 지속적으로 강화해 하이원리조트를 국내 대표 복합리조트로 성장시키겠다"며 "카지노 사업의 책임성과 공익성도 균형 있게 고려해 사업 체질 개선과 지역 상생이라는 목표를 함께 달성하겠다"고 밝혔다.
관련태그

뉴스웨이 양미정 기자
certain@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