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5월 15일 목요일

  • 서울 18℃

  • 인천 17℃

  • 백령 9℃

  • 춘천 17℃

  • 강릉 22℃

  • 청주 20℃

  • 수원 19℃

  • 안동 21℃

  • 울릉도 16℃

  • 독도 16℃

  • 대전 20℃

  • 전주 21℃

  • 광주 20℃

  • 목포 20℃

  • 여수 19℃

  • 대구 22℃

  • 울산 20℃

  • 창원 20℃

  • 부산 19℃

  • 제주 20℃

유통·바이오 공영홈쇼핑 대표 선임 보류···실적 악화 속 '알박기 인사' 논란에 급제동

유통·바이오 채널

공영홈쇼핑 대표 선임 보류···실적 악화 속 '알박기 인사' 논란에 급제동

등록 2025.05.15 16:44

조효정

  기자

공유

정치인 내정설, 내부 반발과 외부 비판적자전환 및 정산금 문제로 경영난 심화조직 쇄신 기대 속 불안감 커져

그래픽=박혜수기자그래픽=박혜수기자

차기 정부 출범을 불과 2주 앞두고 공영홈쇼핑이 추진했던 대표이사 선임이 결국 보류됐다. 유통업계 경험이 전무한 정치권 출신 인사를 내정하면서 낙하산 인사, 이른바 '알박기' 논란이 부담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15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공영홈쇼핑은 이날 오전 서울 마포 본사에서 주주총회를 열고 대표이사 선임을 논의했으나, 최종 결론을 내리지 못하고 의사 결정을 유보했다. 주총에 상정된 안건은 '대표이사 선임의 건'으로, 이미 임원추천위원회를 통해 3배수 후보군이 확정된 상태였다. 하지만 이사회와 주총 모두 결정에 신중한 태도를 보이며 선임을 미뤘다. 차기 주총 일정과 후보 재공모 여부도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

공영홈쇼핑은 중소벤처기업부 산하 공공기관으로, 유통 플랫폼을 통해 중소·벤처기업 제품과 농수산물의 판로를 확대하는 것을 설립 목적에 두고 있다. 주주 구성은 중소기업유통센터가 50퍼센트, 농협경제지주가 45퍼센트, 수협중앙회가 5퍼센트다.

대표이사 유력 후보로는 이종훈 전 새누리당 국회의원이 거론됐다. 그러나 이 전 의원은 홈쇼핑은 물론 유통업계 경험이 없는 인사로 알려졌고, 과거 박근혜 캠프에서 활동하며 정치권 이력만 두드러진다는 점에서 낙하산 논란을 피하기 어려웠다. 실제 공영홈쇼핑 정관상 대표이사는 '기업경영과 홈쇼핑 업무에 관한 학식과 경험이 풍부하고 최고경영자 능력을 갖춘 자'로 규정돼 있다.

일각에서는 이번 선임 시도가 정권 말기 '알박기' 인사로 비춰질 수 있다는 점에서 이사회가 부담을 느낀 것 아니냐는 해석이 나온다.

업계 관계자는 "유통 전반에 대한 이해 없이 정치적 이유로 외부 인사를 앉히는 건 기관의 공공성을 훼손하는 일"이라며 "차기 정부 출범을 앞둔 시점에서 무리하게 강행하는 건 오히려 조직에 독이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대표이사 선임을 둘러싼 논란은 실적 부진과 맞물리며 더욱 주목받고 있다. 최근 감사보고서에 따르면 공영홈쇼핑은 2024년 기준 약 11억4000만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하며 적자전환했다. 매출은 약 1870억원으로 전년과 유사한 수준이었지만, 수익성은 뚜렷하게 악화됐다. 송출 수수료 인상과 TV 시청률 하락, 비용 구조의 경직성이 복합적으로 작용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여기에 위메프 온라인몰 입점 판매대금 중 약 20억원이 정산되지 않은 채 장기 미수금으로 남아 있는 점도 부담으로 작용했다. 공영홈쇼핑은 2019년부터 위메프를 통해 약 214억원어치의 상품을 판매했으나, 해당 플랫폼의 운영 차질로 상당액을 회수하지 못한 상태다.

실적 외에도 내부 기강 문제도 연이어 드러났다. IT부서 일부 직원이 외부 업체로부터 접대를 받은 정황이 확인돼 내부 감사가 진행 중이며, 국회도 관련 자료를 요구하고 감시에 나섰다. 더불어 지난 3월 일본 도쿄에서 열린 식품 박람회에 PD와 검수 담당자 등 관련성이 낮은 직원들이 출장 명목으로 참석한 사실이 알려지며, 출장 목적과 예산 집행의 적절성에 대한 비판도 제기됐다.

이처럼 실적 악화, 미회수 정산금, 내부 비위, 출장 논란까지 겹친 상황에서 전문성 없는 정치 인사를 대표로 선임하려는 시도가 이뤄졌다는 점에서 내부 반발이 커진 것으로 풀이된다. 당초 차기 대표 선임은 조직 쇄신의 신호탄이 될 것으로 기대됐지만, 결과적으로 혼란만 가중시킨 셈이다.

업계 한 관계자는 "대표이사 선임은 차기 정부 출범 이후 다시 추진될 가능성이 크지만, 단순히 사람만 바꿔선 의미가 없다"며 "공영홈쇼핑이 왜 존재하는지, 어떤 방향으로 가야 하는지에 대한 근본적인 재정립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말했다.

공영홈쇼핑 관계자는 "일단 이번 주총에서 의사결정이 유보된 상황이라, 이후 절차나 일정에 대해 구체적으로 말할 수 있는 단계는 아니다"며 "절차에 맞춰 다시 논의를 시작해야 할 시점"이라고 말했다.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