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남구 40대 매수 비중 급증마용성 지역에서도 40대 적극 매수전국적으로는 30대가 여전히 강세
4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매입자 연령대별 아파트 매매거래현황'에 따르면, 지난 3월 서울에서 매매 신고된 아파트 9천349건 중 40대가 3천158건(33.8%)을 매수해 연령대별 최고 비중을 차지했다. 같은 기간 30대는 3천41건(32.5%)으로, 40대보다 낮은 수치를 기록했다.
서울 아파트 시장에서는 2019년 이후 30대의 매수세가 가장 두드러졌지만, 올해 들어 흐름이 바뀌고 있다. 2019년에는 30대(28.8%)와 40대(28.7%)가 비슷한 수준이었으나, 2020년 30대의 비중은 33.5%로 상승하며 40대(27.5%)와의 격차가 벌어졌다. 소위 '영끌족'이 등장한 2021년에는 30대의 매수 비중이 36.4%까지 확대되며 40대(26.4%)를 크게 앞질렀다.
2023년 들어 금리 인상, DSR 2단계 시행, 대출 제약 등으로 자금력이 약한 30대의 매수세가 위축되며, 40대의 비중이 31.7%로 상승해 30대(31.9%)와 유사한 수준을 기록했다. 특히 작년 하반기부터는 7월~11월까지 40대가 매수 비중 1위를 유지하기도 했다.
30대는 지난해 12월부터 올해 2월까지 다시 우세를 보였으나, 3월 들어 40대가 다시 역전한 것으로 조사됐다. 전문가들은 강남권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로 거래가 증가한 강남, 마용성(마포·용산·성동구) 등 인기 지역에서 40대의 적극적인 매수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고 있다.
지역별로는 강남구와 서초구에서 40대의 매수 비중이 각각 42.8%, 44.5%에 달해 30대(19.5%, 21.1%)를 크게 앞섰다. 송파구(35.6%)와 강동구(35.3%)도 30대(26.9%, 25.5%)에 비해 40대가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정비사업 기대감이 큰 용산구와 양천구에서도 40대의 매수 비중은 각각 38.1%, 43.8%로, 30대(25.5%, 30.4%)를 크게 상회했다.
한편 전국 기준으로는 여전히 30대의 매수세가 우세했다. 지난달 전국 아파트 매수 비중은 30대가 27.3%, 40대가 26.3%를 기록했다. 전국적으로는 2019년 이후 40대가 주도했지만, 2023년부터는 30대가 연평균 기준으로 앞서기 시작해 올해에도 이 흐름이 이어지고 있다.

뉴스웨이 이병현 기자
bottlee@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