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 결과 투명PI 필름 설비, 중국 반도체케미컬 JV 등 대규모 투자에도 부채비율은 128.4%로 지난해보다 줄었다.
부문별로 살펴보면 화학사업은 매출 2102억원에 영업이익 368억원을 기록했다. 지난해 말 진행한 임시보수가 끝나면서 생산량이 증가했고 고부가 다운스트림 사업 확장으로 고부가 제품 생산량이 늘어난 영향이 크다.
2분기에도 우호적인 수급 환경이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지역 내 주요 업체가 정기보수를 진행하면서 공급이 원활하지 않기 때문이다. SKC는 공정 최적화로 생산성을 높이고 제조원가를 줄이는 한편 고부가 제품 판매량을 지속적으로 늘려 안정적인 수익성을 유지해나갈 계획이다.
인더스트리소재사업은 매출액 2735억원, 영업이익 △40억원을 기록했다. 디스플레이 등 전방산업 수요 부진과 원재료 가격 상승 영향이 컸다. 전방사업 수요가 줄어든 상황에서 필름의 주원료인 TPA와 EG 가격은 전년 평균보다 각각 12.3%, 15.4% 오르는 등 이중고를 겪었다.
다만 지난해 7월 자회사가 된 SKC 하이테크앤마케팅은 실적이 좋아지고 있다. 올해 1분기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800억원과 23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628억원과 △50억원보다 대폭 늘었다.
2분기에는 원가 인상분을 제품가격에 반영하는 노력을 강화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외부 환경도 긍정적이다. 음료수 소비가 많은 여름철을 앞두고 PET병 라벨로 쓰이는 열수축필름 수요가 늘어난다. 또한 모바일 신제품 조기 출시 전망과 6월 러시아월드컵 영향 등으로 디스플레이 필름, 고기능 이형용 필름 등 전방산업 수요가 증가한다. 모바일 기기 뒷면 비산방지용 컬러필름(GDF)를 생산하는 SKC 하이테크앤마케팅 역시 호조세를 이어갈 전망이다.
성장사업은 통신장비 비수기 영향으로 매출 1550억원, 영업이익 84억원을 기록했다. 영업이익은 반도체 소재 사업 영향으로 전년 동기보다 13.5% 늘었다. 반도체 소재 사업은 매출과 영업이익 모두 증가한 매출 708억원, 영업이익 37억원을 기록했다.
노영주 SKC Value혁신지원 실장은 “2분기에는 인더스트리소재사업 성수기 진입 효과 및 주요 사업의 우호적인 업황 영향으로 수익이 증가하는 등 올 한해에는 실적이 점차 좋아질 것으로 보인다”며“올해 연간 영업이익은 2000~2200억원, 지분법 투자회사의 영업이익을 포함한 합산영업이익은 3350~3650억원을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고 설명했다.

뉴스웨이 임주희 기자
ljh@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